저자 : 강소천
1915년 함경남도 고원군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용률(龍律)이다. 고원공립보통학교와 함흥 영생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1939년 고향 미둔리에서 결혼했으며, 1945년부터 6·25가 일어나기 전까지 고원중학교, 청진여자고급중학교, 청진제일고급중학교에서 국어교사로 근무했다.1933년 동요 <울엄마젓>이 ≪어린이≫ 5월호에 입선되고, <까치야>가 ≪아이생활≫ 5월호에 윤석중의 고선으로 뽑혀 발표되고부터 정식 작가로 인정받았다. 1936년 ≪童話(동화)≫에 동요 <제비>, , 동시 <국화와 채송화> 등을, 1937년 ≪소년≫ 창간호에 대표작 <닭>을 발표했으며, 1937년부터는 동요·동시와 함께 동화와 소년소설을 발표하기 시작했다. 강소천은 고향에서 6·25를 당하고, 1951년 1·4후퇴 때 고향에 부모와 처자를 남겨 둔 채, 흥남에서 군부대를 따라 단신으로 월남했다. 이때 그는 남한 땅을 고향에 두고 온 가족과는 일시적으로 떨어져 지내야 하는 한시적 삶의 공간으로 생각했으나 6·25 전쟁은 남북을 갈라놓은 휴전으로 종결되고 세월이 흐를수록 분단이 고착화되면서 결국 남한 땅은 그에게 삶의 터전으로 새롭게 일구어 내야 하는 공허한 삶의 공간이 되고 말았다. 월남 후 그는 주로 아동잡지 편집과 교육 활동에 종사하며 1963년 타계할 때까지 10여 년간 가장 왕성한 창작 활동을 펼쳤다. ≪어린이 다이제스트≫ 주간, ≪새벗≫ 주간, ≪아동문학≫ 편집위원, 한국아동문학가협회 분과위원장, 아동문학연구회 회장, 문인협회 이사, 한국보육대학 강사, 이화여대 도서관학과 강사, 국정교과서 국어과 심의 의원, 서울 중앙방송국 자문위원 등을 역임했다.저서로는 동요시집 ≪호박꽃초롱≫(박문서관, 1941), 동화집과 소년소설집으로 ≪조그만 사진첩≫(다이제스트사, 1952), ≪꽃신≫(한국교육문화협회, 1953), ≪진달래와 철쭉≫(다이제스트사, 1953), ≪꿈을 찍는 사진관≫(홍익사, 1954), ≪달 돋는 나라≫(대한기독교서회, 1955), ≪바다여 말해다오≫(대한기독교서회, 1955), ≪종소리≫(대한기독교서회, 1956), ≪무지개≫(대한기독교서회, 1957), ≪인형의 꿈≫(새글집, 1958), ≪꾸러기와 몽당연필≫(새글집, 1959), ≪대답 없는 메아리≫(대한기독교서회, 1960), ≪강소천 아동문학독본≫(을유문화사, 1961), ≪한국아동문학전집?강소천편≫(민중서관, 1962), ≪어머니의 초상화≫(배영사, 1963), ≪강소천 아동문학전집≫ 전 6권(배영사, 1964), ≪강소천문학전집≫ 전 15권(문음사, 1981), ≪강소천 아동문학전집≫(교학사, 2006) 등이 있다.
귀뚜라미 소리 방정환
반달 윤극영
봄편지 서덕출
따오기 한정동
오빠 생각 최순애
고향의 봄 이원수
해바라기 씨 정지용
씨 하나 묻고 윤복진
퐁당퐁당 윤석중
닭 강소천
구슬비 권오순
누가누가 잠자나 목일신
소년 윤동주
봄 김기림
감자꽃 권태응
개구리 한하운
꼬까신 최계락
섬집 아기 한인현
과꽃 어효선
나뭇잎 배 박홍근
문구멍 신현득
초록바다 박경종
풀잎2 박성룡
과수원길 박화목
미술시간 김종상
비 오는 날 임석재
귤 한 개 박경용
별 공재동
잡초 뽑기 하청호
송아지가 아프면 손동연
엄마가 아플 때 정두리
산 너머 저쪽 이문구
강아지풀 김구연
담요 한 장 속에 권영상
나무 속의 자동차-봄에서 겨울까지2 오규원
흔들리는 마음 임길택
하느님에게 박두순
꽃씨와 도둑 피천득
병아리 엄기원
콩, 너는 죽었다 김용택
밤이슬 이준관
그냥 문삼석
도토리나무가 부르는 슬픈 노래1 권오삼
아름다운 것 오순택
옹달샘 한명순
먼지 이상교
상어 최승호
호박꽃 안도현
나무와 연못 유경환
손을 기다리는 건 신형건
시인에 대하여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