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초등 > 3-4학년 > 학습일반
달력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이미지

달력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자연과 과학과 사람이 함께 만든 달력 이야기
토토북 | 3-4학년 | 2008.12.22
  • 정가
  • 12,000원
  • 판매가
  • 10,800원 (10% 할인)
  • S포인트
  • 600P (5% 적립)
  • 상세정보
  • 18x22.8 | 0.228Kg | 120p
  • ISBN
  • 9788990611703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자연의 순환주기를 살펴 만든 태음력, 태양력에서 그레고리력까지, 달력의 역사를 살펴 보는 책. 사람들이 날짜를 왜 셌는지, 어떤 원리로 날짜를 세고 달력을 만들었는지, 지금 우리가 쓰고 있는 달력은 어떻게 만들어진 것인지 등 무심코 넘기는 달력에 담긴 수많은 이야기 거리를 담았다.

지은이가 상상력을 발휘해 재미난 이야기 속에 달력에 관한 정보가 잘 스며들도록 원고를 맛깔스럽게 다루었다. 달력 이야기를 읽다보면 우리가 지금 무심코 쓰고 있는 달력이 자연과 과학과 인간이 함께 만들어낸 멋진 발명품임을 깨달을 수 있다.

  출판사 리뷰

지금, 책상 앞에 새 달력을 놓아두자!

우리들은 같은 달력에 따라 하루, 또 일주일을 보내고 한 달, 또 일 년을 계획해.
하루라도 달력을 보지 않는 날이 없을 정도지. 달력 없는 생활은 상상할 수도 없다고!
그래서 더더욱 궁금해져. 왜 일주일은 7일일까?
또 한 달은 왜 30일, 31일일까? 아참, 28일, 29일짜리도 있네?
일 년은 왜 365일, 366일일까?
우리가 지금 쓰고 있는 달력은 언제 만들어졌을까?
궁금한 게 있다면 답을 찾아봐야지, 안 그래?
이제부터 달력을 요리조리 뜯어보기로 하자.
달력이 왜, 언제 만들어졌는지,
하루, 일주일, 한 달, 일 년의 길이를 어떤 원리로 정했는지,
또 세상에는 어떤 달력들이 있는지 알게 될 거야.

사람들은 왜 날짜를 셌을까?

아주 아주 먼 옛날, 사람들은 특별히 날짜에 따라 계획을 세울 필요가 없었습니다. 태양이 뜨면 일을 하고, 태양이 지면 잠자리에 들고··· 그러다가 어느 날부터 사람들은 모여 살기 시작했고, 농사를 짓게 되었습니다. 이제 하늘을 살펴 자연의 변화를 알아야했지요. 해와 달, 별의 움직임을 살펴야 씨를 뿌릴 때가 언제인지, 거둘 때가 언제인지 알 수 있으니까요.
또 세월이 흘렀습니다. 모여 살던 사람들은 마을을 이루고 이 마을이 점점 커지면서 작은 도시가 되고, 작은 도시들이 모여 왕과 지배층, 백성이 생겨나는 큰 도시가 세워졌습니다. 발전한 도시들은 자신들의 도시를 지키기 위해 성과 도로를 만들어야 했고, 나라의 지배자인 왕은 이런 일들을 진행하기 위해 세금을 거두어야 했지요.
이제 날짜를 세는 일은 아주 중요한 일이 되었습니다. 세금을 제 날짜에 걷어야 했고, 신성한 종교 의식을 치룰 날짜도 택해야 했고, 사람들 간에 날짜에 맞춰 약속을 정해야 했고, 계절의 변화에 맞춰 농사일을 해내야 했지요.

자연과 과학과 사람이 함께 만든 멋진 발명품, 달력
:자연의 순환주기를 살펴 만든 태음력, 태양력에서 그레고리력까지, 달력의 역사


현명한 옛 사람들은 자연의 순환 주기에 맞춰 날짜를 세는 규칙, 즉, 달력을 찾아내기 시작했습니다. 달의 움직임을 살피기도 하고, 해의 움직임을 살피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자연의 순환 주기에만 맞춰 달력을 만드는 일은 쉬운 일이 아니었지요. 이제 수학의 도움도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메톤 주기로 계산해 만든 달력이 그것이지요. 달력은 때론 지배자의 명령에 따라 고쳐 새로 만들어지기도 했습니다. 로마의 율리우스가 만든 율리우스력이 그렇고, 지금 우리가 쓰고 있는 ‘그레고리력’이 그렇지요.

조근조근 재미나게 들려주는 달력 이야기
:달력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사람들이 날짜를 왜 셌는지, 어떤 원리로 날짜를 세고 달력을 만들었는지, 지금 우리가 쓰고 있는 달력은 어떻게 만들어진 것인지, 왜 한 달의 길이가 달마다 다른 것인지, 왜 윤달과 윤날을 둔 것인지, 월과 요일의 이름은 어떻게 정했진 것인지 등등··· 무심코 넘기는 달력 한 장에는 수많은 이야기 거리가 담겨있습니다. <레디, 액션! 우리 같이 영화 찍자>로 제11회 창비 '좋은 어린이 책' 원고 공모 기획부문 대상을 받은 김경화 작가는 상상력을 발휘해 재미난 이야기 속에 달력에 관한 정보가 잘 스며들도록 원고를 맛깔스럽게 다루었습니다. 달력 이야기를 읽다보면 우리가 지금 무심코 쓰고 있는 달력이 자연과 과학과 인간이 함께 만들어낸 멋진 발명품임을 알게 됩니다.

태양력은 먼 옛날 이집트에서 시작되었어. 이집트인들은 시리우스별의 움직임을 관찰해서 일 년을 365일로 정한 이집트력을 만들었어. 태양력인 이집트력은 태음력보다 계절과 잘 맞았지. 하지만 이집트력에도 문제가 있었어. 원래 태양을 기준으로 관찰해 보면 일 년의 길이는 약 365.24219일이야. 그러니까 일 년을 365일로 정한 이집트력도 4년마다 약 하루씩 빨라지게 되는 거지.

p46

  목차

프롤로그_달력이 궁금해!

달력이 필요해
누가 대답 좀 해 줘!
사람들은 왜 날짜를 셌을까?
도대체 하루는 언제 시작되는 거야?
복잡해진 세상, 달력이 필요해

달과 해가 만든 달력
달을 훔쳐 가는 괴물을 찾아라
시리우스별이 나타났다
메톤이 규칙을 찾았다!

지금 우리가 쓰는 달력
일 년이 445일 이라니!
세계가 함께 쓰는 달력, 그레고리력
열두 달 이름에 숨겨진 이야기
일주일은 왜 7일까?

우리나라의 달력 이야기
우리 달력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우리나라의 명절
우리나라의 24절기

어떤 달력이 좋은 달력일까?
세계 달력 회의 열리다
어떤 달력이 좋은 달력일까?
우리가 쓰는 달력이 틀리다고?
지구의 시간이 변한다고?

에필로그_우리들의 달력 이야기

  회원리뷰

리뷰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