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손에 잡히는 과학 교과서' 시리즈의 15권. 초등 교과서에 나오는 모든 과학 이야기를 에너지 현상으로 풀이하는 책이다. 물질 변화의 원인이 에너지임을 알고 과학의 기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엮었다. 물리 분야에 한정된 것이 아닌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현상까지 아우른 에너지 이야기를 실은 것이 이 책의 장점이다.
출판사 리뷰
물질을 움직이고 변하게 하는 근원, 에너지!
초등 교과서에 나오는 모든 과학 이야기를 에너지 현상으로 풀이합니다.
에너지를 중심으로 둔 우리 세상 속 과학
우리 세상은 한순간도 멈춰 있는 경우가 없어요. 물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고, 식물과 동물이 자라나고 지진과 화산이 일어나기도 하고 단단한 바위가 세월이 지나 금이 가고 쪼개져 고운 흙으로 변하기도 해요.
이렇듯 물질을 움직이고 변하게 만드는 것은 무엇일까 고민한 사람들은 자연의 숨어 있는 원리를 찾아냈어요. 그것은 바로 ‘에너지’입니다. 자동차가 움직이는 것도 볼링을 칠 때도 원시인이 불을 만드는 것도 텔레비전을 보게 되는 것도 실험실에서 화학 반응이 일어나는 것도 모두 에너지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화하면서 가능한 일이랍니다.
세상에 다양한 에너지와 에너지의 변신, 에너지가 자연환경과 생물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우리의 미래에는 어떠한 에너지 형태를 또 만나게 될 지 에너지라는 키워드로 보는 과학의 모든 것이 담겨 있습니다.
운동, 생명현상, 날씨와 화산까지 수시로 모습을 바꿔가며 일하는 에너지
세상은 이 에너지와 저 에너지로 연결되어 있어요. 세상에 일어나는 모든 현상은 에너지가 모습을 바꾸며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
물체가 높은 곳에 있으면 위치 에너지를 가지는 데 이 물체를 떨어뜨리면 물체 속도가 점점 더 빨라지면서 운동에너지가 됩니다. 계산기 등에 들어가는 광전지는 빛(빛에너지)을 전기에너지로 바꾸어 계산기를 작동합니다. 추운 날 우리가 소변을 보면 몸이 부르르 떨릴 때가 있는데 이것은 몸을 떠는 운동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바뀌어 우리 체온을 유지하게 하는 것입니다.
물질 변화의 원인이 에너지임을 알고 과학의 기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물리 분야에 한정된 것이 아닌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현상까지 아우른 에너지 이야기입니다.
<손에 잡히는 과학 교과서> 시리즈 소개
나무는 보고 숲은 보지 못하는 아이들을 위해
교과서에 빠진 개념과 체계를 잡아 주는 과학책!
‘체험 학습에서 배운 내용이 시험에 나왔는데도 틀린다.’
‘설명이 없는 교과서만 가지고는 어떻게 공부해야 할지 막막하다.’
‘배울 당시에는 이해하는 것 같았는데, 학년만 바뀌면 배운 내용을 잊어버린다.’
그 이유는 모든 학습의 기본이 되는 교과서에 2%가 빠져 있기 때문입니다. <손에 잡히는 과학 교과서>는 과학 교과서를 속속들이 해부하고 분석한 다음, 교과서에 빠진 2%를 채웠습니다.
현재 초등학교에서 배우고 있는 과학 교과서는 주제별 내용이 각 학년에 걸쳐 나눠져 있어서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게다가 한 학기에 과학의 여러 분야를 배우다 보니 분야별, 주제별 지식 체계를 잡기 힘듭니다. 나무만 보고 숲은 보지 못하는 격이지요.
<손에 잡히는 과학 교과서>는 교과서에 조각조각 흩어져 있는 지식을 하나로 연결시켜 지식의 체계를 잡았습니다. 교과서에 흩어져 있는 내용을 분야별로 정리하고 그것을 다시 동물, 우주, 힘 등 주제별로 묶어 큰 흐름 안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1%) 딱딱한 과학을 끝까지 읽게 하는 힘
초등학교 아이들은 과학 교과서의 다양한 활동을 통해 과학에 대한 호기심과 경험을 쌓아갑니다. 하지만 개념을 직접 설명하지 않는 교과서의 특성 때문에 아이들의 머리 속에 개념 정리가 되기란 쉽지 않습니다.
그런데 활동 위주의 과학이 중학교에 올라가면 개념 설명 위주로 바뀝니다. 개념 정리가 안 된 상태에서 개념과 설명 중심의 체계적 과학 지식을 만나면, 아이들에게 과학은 갑자기 어렵고 딱딱한 과목으로 다가옵니다. 재미있던 과학이 골치아픈 암기 과목으로 변해 버리고 마는 것이지요.
그래서 과학은 어려운 것이라고 인식하게 되는 것이고, 어려운 과학을 쉽게 알고자 다른 과학책을 따로 보게 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과학책의 대부분이 딱딱하고 지루해 끝까지 보기가 힘듭니다. 아무리 책이 좋아도 끝까지 읽지 않으면 소용없는 법이지요.
<손에 잡히는 과학 교과서>에는 아이들이 흥미를 잃지 않고 끝까지 읽을 수 있도록 재미있고 흥미로운 글을 써 주실 분들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흩어진 지식의 체계를 잡아 주실 우리나라의 대표 생물학자인 권오길 교수님, 쉬운 과학 글쓰기를 통해 과학과 친해지도록 도와주실 손영운 선생님, 그리고 아이들의 눈높이를 가장 잘 아는 초등학교 선생님들이 모여 이 시리즈의 글을 써 주셨답니다.
체계 있게 정확한 내용을 전달하면서도 직접 아이들에게 이야기를 들려주는 듯한 편안하고 말랑말랑한 문장으로, 어려운 과학이지만 술술 읽힐 수 있게 했어요. <손에 잡히는 과학 교과서>가 초등학교 과학과 중학교 과학 사이의 든든한 다리가 되어 줄 것입니다.
만화와 게임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에네르기파를 알고 있을 거예요. 온몸의 기를 모아 발사한 에네르기파에 맞으면 무엇이든 남아나는 게 없지요.
에네르기파의 에네르기는 독일어예요. 에네르기를 영어로운 에너지라고 말해요. (…) 에네르기파를 발사하려면 먼저 에네르기를 모아야 해요. 아마 에네르기를 모을 때 몸이 뜨거워지거나 빛이 날 거예요. 이렇게 모아 발사한 에네르기파를 받은 상대는 어떻게 되나요? 사람이든 사물이든 엄청난 충격을 받고 밀려나거나 산산이 부서지지요.
뜨거운 열기와 눈부신 빛과 엄청난 소리, 또 내동댕이쳐지는 사람과 산산이 부서지는 사물…. 그런데 에네르기파가 할 수 있는 이 모든 일은 에너지도 할 수 있어요. -본문 16쪽 중에서
우리는 익숙한 광경에는 아무런 의심을 품지 않아요. 절벽에서 떨어지는 폭포수를 보고도 그저 시원하다는 생각만을 할 뿐이지요. 하지만 과학자들은 의심이 많아서 보통 사람들이 무심코 지나치는 현상에도 의심을 품어요.
‘물은 왜 낮은 곳으로 흐르는 것일까?’
과학자들은 이 질문에 답을 얻고 싶어 했어요. 물론 물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는 이유는 지구의 중력이 모든 것을 끌어당기기 때문이에요. 그런데 과학자들은 이 질문에 에너지로 답을 해요. 에너지가 힘보다 근본적인 성질이기 때문이에요. 과학자들이 내린 답이란 바로 ‘물체를 에너지를 잃으려고 한다.’는 자연의 법칙이에요. -본문 80쪽 중에서
목차
들어가는 이야기 12
에너지가 있어야 일을 하지! 14
(관련 교과) 5학년 2학기 _ 8. 에너지: 에너지에 대한 생각 토의해 보기
(관련 교과) 6학년 2학기 _ 6. 편리한 도구 : 수평잡기와 지레의 원리
더 알아보기_힘의 시대와 에너지의 시대 34
이것도 에너지 저것도 에너지 36
(관련 교과) 4학년 1학기 _ 3. 전구에 불 켜기 : 전지와 전구 연결하여 불 켜기
(관련 교과) 4학년 2학기 _ 5. 열에 의한 물체의 부피 변화 : 공기를 가열하면 어떻게 될까?
(관련 교과) 4학년 2학기 _ 6. 용수철 늘이기 : 용수철 길이의 변화
(관련 교과) 5학년 1학기 _ 4. 물체의 속력 : 안전한 생활과 속력
더 알아보기_무게와 질량 56
돌고 도는 에너지 58
(관련 교과) 4학년 2학기 _ 6. 용수철 늘이기 : 용수철 길이의 변화
(관련 교과) 5학년 2학기 _ 8. 에너지 : 운동에너지로 변하게 하기
(관련 교과) 6학년 1학기 _ 7. 전자석 : 전자석의 성질을 이용한 장난감
(관련 교과) 6학년 2학기 _ 5. 연소와 소화 : 물질이 타기 시작하는 온도
더 알아보기_전기에너지를 위치에너지로 저장하는 양수 발전소 76
자연을 바꾸는 에너지 78
(관련 교과) 3학년 1학기 _ 8. 흙을 나르는 물 : 흐르는 물에 의해 흙이 운반되는 모습
(관련 교과) 4학년 2학기 _ 8. 열의 이동과 우리 생활 : 빛에 의한 열의 이동
(관련 교과) 5학년 1학기 _ 3. 기온과 바람 : 바람이 부는 까닭
더 알아보기_판구조론 96
생물은 에너지 순환 장치 98
(관련 교과) 5학년 2학기 _ 1. 환경과 생물 : 온도는 생물의 생활에 어떤 영향을 줄까?
(관련 교과) 6학년 1학기 _ 3. 우리 몸의 생김새 : 우리가 먹는 음식물은 어떻게 될까?
더 알아보기_여러 가지 음식의 열량 118
미래를 바꾸는 에너지 120
(관련 교과) 4학년2학기 _ 8. 열의 이동과 우리 생활 : 열과 연료에 대해 알아보기
(관련 교과) 5학년 2학기 _ 1. 환경과 생물 : 사람과 환경은 서로 어떤 영향을 끼칠까?
(관련 교과) 5학년 2학기 _ 8. 에너지 : 여러 가지 에너지 비교하기
(관련 교과) 6학년 2학기 _ 3. 쾌적한 환경 : 환경 보전 방법 알아보기
더 알아보기_대체 연료 자동차 144
마치는 이야기 146
부록 : 한눈에 펼쳐보는 에너지 148
찾아보기 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