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손에 잡히는 과학 교과서' 시리즈의 14권. 초등학교 1학년부터 6학년까지 다루는 생명 현상에 관한 과학 교과 내용을 모두 엮은 책이다. 동식물과 4가지 중요한 자연현상에 관한 내용은 저학년부터, 적응 진화와 생태계에 관한 내용은 고학년까지 볼 수 있도록 전 학년 교과 내용을 유기적으로 꾸몄다.
수준별로 구성되어 있어 분야별, 주제별 지식 체계를 잡기 힘들었던 기존 교과서를 보완해 생물과 관련된 모든 것을 큰 흐름 안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학년을 넘나들며 공부하며 초등 과학의 전체 줄기를 파악하고, 중고등학교까지 이어지는 과학 공부의 기초 토대를 탄탄하게 세울 수 있다.
출판사 리뷰
<손에 잡히는 과학 교과서>의 열네 번째 책, ‘자연환경과 생태계’
햇빛, 물, 땅, 공기
가장 중요한 4가지 자연환경과 생명의 관계를 알아봅니다.
햇빛, 물, 땅, 공기
거대한 자연에 적응하며 살아가는 여러 생물의 이야기
‘달팽이 박사’로 불리며 우리나라 구석구석을 누비며 생명 탐구에 힘써 온 생물학자 권오길 교수가 이번에는 4가지 환경 속에 살아가는 생물들의 모습을 보여 줍니다.
사람은 더운 여름이 되면 선풍기나 에어컨으로 찬 공기를 쐬고, 추운 겨울이 되면 옷을 껴입고 난로 등을 이용합니다. 사람이 살아가는 데 온도를 조절한다는 것은 곧 생명과도 이어지는 문제이기 때문이지요. 자연환경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은 이처럼 생물에게는 가장 중요한 일입니다. 그러면 인공적으로 환경을 조절할 수 없는 동물과 식물은 어떻게 살아갈까요? 지구상 수없이 많이 존재하는 생물의 종류처럼 환경에 적응하는 방법도 다양하고 신기합니다.
사계절 변화하는 자연환경에 영리하게 ‘적응’하며 살아가는 생물, 오랜 세월동안 환경에 적응하며 ‘진화’해 온 생명의 아름다운 구조, 함께 살기 위해 생겨나는 생태계 등 환경과 생명의 관계 속에 숨겨진 신기한 비밀들을 쉬운 말로 어린이들에게 들려줍니다.
또 저자는 환경을 지키는 것은 햇빛과 물, 땅, 공기가 있는 그대로 살아 숨 쉬게 해 주는 것이라는 중요한 메시지를 전합니다.
교과 내용의 개념과 체계를 잡아
중고등학교까지 이어지는 과학의 기초를 세워 줍니다.
<손에 잡히는 과학 교과서-자연환경과 생태계>는 초등학교 1학년부터 6학년까지 다루는 생명 현상에 관한 과학 교과 내용을 모두 엮었습니다. 동식물과 4가지 중요한 자연현상에 관한 내용은 저학년부터, 적응 진화와 생태계에 관한 내용은 고학년까지 볼 수 있도록 전 학년 교과 내용을 유기적으로 꾸몄습니다.
수준별로 구성되어 있어 분야별, 주제별 지식 체계를 잡기 힘들었던 기존 교과서를 보완해 생물과 관련된 모든 것을 큰 흐름 안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학년을 넘나들며 공부하다보면 초등 과학의 전체 줄기가 보이고 중고등학교까지 이어지는 과학 공부의 기초 토대가 탄탄하게 세워질 것입니다.
우리나라 대표적인 생물학자 권오길 교수가 글을 쓴 것으로 교과 연계 학습은 물론 생물에 관련해 권위 있는 과학 교양서로 읽을 수 있습니다.
* 교과서와 함께 봐요 - 손에 잡히는 과학 교과서 <자연환경과 생태계>
2학년 2학기 4. 겨울을 따뜻하게 보내려면
3학년 1학기 3. 소중한 공기 / 6. 물에 사는 생물
3학년 2학기 1. 식물의 잎과 줄기 / 5. 여러 가지 돌과 흙
4학년 1학기 6. 식물의 뿌리
4학년 2학기 7. 모습을 바꾸는 물
5학년 1학기 5. 꽃 / 7. 식물의 잎이 하는 일 / 8. 물의 여행 / 9. 작은 생물
5학년 2학기 1. 환경과 생물
6학년 1학기 6. 여러 가지 기체
6학년 2학기 2. 일기 예보 / 3. 쾌적한 환경
<손에 잡히는 과학 교과서> 시리즈 소개
나무는 보고 숲은 보지 못하는 아이들을 위해
교과서에 빠진 개념과 체계를 잡아 주는 과학책!
‘체험 학습에서 배운 내용이 시험에 나왔는데도 틀린다.’
‘설명이 없는 교과서만 가지고는 어떻게 공부해야 할지 막막하다.’
‘배울 당시에는 이해하는 것 같았는데, 학년만 바뀌면 배운 내용을 잊어버린다.’
그 이유는 모든 학습의 기본이 되는 교과서에 2%가 빠져 있기 때문입니다. <손에 잡히는 과학 교과서>는 과학 교과서를 속속들이 해부하고 분석한 다음, 교과서에 빠진 2%를 채웠습니다.
현재 초등학교에서 배우고 있는 과학 교과서는 주제별 내용이 각 학년에 걸쳐 나눠져 있어서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게다가 한 학기에 과학의 여러 분야를 배우다 보니 분야별, 주제별 지식 체계를 잡기 힘듭니다. 나무만 보고 숲은 보지 못하는 격이지요.
<손에 잡히는 과학 교과서>는 교과서에 조각조각 흩어져 있는 지식을 하나로 연결시켜 지식의 체계를 잡았습니다. 교과서에 흩어져 있는 내용을 분야별로 정리하고 그것을 다시 동물, 우주, 힘 등 주제별로 묶어 큰 흐름 안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1%) 딱딱한 과학을 끝까지 읽게 하는 힘
초등학교 아이들은 과학 교과서의 다양한 활동을 통해 과학에 대한 호기심과 경험을 쌓아갑니다. 하지만 개념을 직접 설명하지 않는 교과서의 특성 때문에 아이들의 머리 속에 개념 정리가 되기란 쉽지 않습니다.
그런데 활동 위주의 과학이 중학교에 올라가면 개념 설명 위주로 바뀝니다. 개념 정리가 안 된 상태에서 개념과 설명 중심의 체계적 과학 지식을 만나면, 아이들에게 과학은 갑자기 어렵고 딱딱한 과목으로 다가옵니다. 재미있던 과학이 골치아픈 암기 과목으로 변해 버리고 마는 것이지요.
그래서 과학은 어려운 것이라고 인식하게 되는 것이고, 어려운 과학을 쉽게 알고자 다른 과학책을 따로 보게 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과학책의 대부분이 딱딱하고 지루해 끝까지 보기가 힘듭니다. 아무리 책이 좋아도 끝까지 읽지 않으면 소용없는 법이지요.
<손에 잡히는 과학 교과서>에는 아이들이 흥미를 잃지 않고 끝까지 읽을 수 있도록 재미있고 흥미로운 글을 써 주실 분들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흩어진 지식의 체계를 잡아 주실 우리나라의 대표 생물학자인 권오길 교수님, 쉬운 과학 글쓰기를 통해 과학과 친해지도록 도와주실 손영운 선생님, 그리고 아이들의 눈높이를 가장 잘 아는 초등학교 선생님들이 모여 이 시리즈의 글을 써 주셨답니다.
체계 있게 정확한 내용을 전달하면서도 직접 아이들에게 이야기를 들려주는 듯한 편안하고 말랑말랑한 문장으로, 어려운 과학이지만 술술 읽힐 수 있게 했어요. <손에 잡히는 과학 교과서>가 초등학교 과학과 중학교 과학 사이의 든든한 다리가 되어 줄 것입니다.
특히 식물은 햇빛을 이용해 광합성을 하여 양분을 만듭니다. 태양의 빛을 에너지로 바꾸는 일은 식물만이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자란 식물은 동물의 먹이가 되고, 식물을 먹은 동물은 또 다른 동물의 먹이가 되는 먹이 사슬을 이룹니다.
이것은 결국 우리가 오늘 먹은 밥도 태양의 빛 에너지에서 왔다는 뜻이 됩니다. 햇빛을 받아 잘 자란 오렌지를 갈아 만든 주스 한 컵을 마셨다는 것은 태양을 한 컵 마신 것과 다름없습니다. 이렇듯 태양은 고마운 존재입니다. -본문 25쪽 중에서
생물의 세계를 살펴보면 큰 나무 한 그루가 저 혼자서 숲을 이룰 수 없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숲에는 큰 나무는 물론이고 어린 나무, 잡풀, 고사리에 버섯까지 어우러져 살고 있습니다. 바닥의 흙에는 지렁이, 지네. 눈에 보이지 않는 곰팡이, 토양 세균이 그득합니다.
이렇듯 생물계는 저 혼자 외따로 존재하는 것이 없으며 모두 공생 관계를 이루며 삽니다. 때로는 피를 빠는 모기처럼 인간에게 피해를 주는 생물이라도 이 지구에 필요하기 때문에 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됩니다. -본문 123쪽 중에서
목차
들어가는 이야기 12
생물과 환경 14
(관련 교과) 2학년 2학기 _ 4. 겨울을 따뜻하게 보내려면 : 동식물의 겨울 지내기
(관련 교과) 5학년 2학기 _ 1. 환경과 생물 : 환경에 적응하는 생물
햇빛과 생물 22
(관련 교과) 5학년 1학기 _ 7. 식물의 잎이 하는 일 : 빛과 식물
(관련 교과) 5학년 2학기 _ 1. 환경과 생물 : 빛이 생물에게 미치는 영향
더 알아보기_식물도 잠을 잔다고? 40
물과 생물 42
(관련 교과) 3학년 1학기 _ 6. 물에 사는 생물 : 물속 생물이 살아가는 환경
(관련 교과) 4학년 1학기 _ 6. 식물의 뿌리 : 물방울의 식물 여행
(관련 교과) 5학년 2학기 _ 1. 환경과 생물 : 물이 생물에게 미치는 영향
더 알아보기_물은 물인데 같은 물이 아니라고? 66
토양과 생물 68
(관련 교과) 3학년 2학기 _ 5. 여러 가지 돌과 흙 : 흙이 생기는 과정
(관련 교과) 5학년 1학기 _ 9. 작은 생물 : 땅 위에 사는 작은 생물
더 알아보기_지렁이한테도 털이 있다고? 80
공기와 생물 82
(관련 교과) 3학년 1학기 _ 3. 소중한 공기 : 공기와 우리 생활
(관련 교과) 5학년 1학기 _ 3. 기온과 바람 : 바람이 부는 까닭
(관련 교과) 6학년 2학기 _ 2. 일기예보 : 기압과 공기의 움직임
더 알아보기_지구를 지켜 나가기 위한 생물권 90
생태계와 먹이사슬 92
(관련 교과) 6학년 2학기 _ 3. 쾌적한 환경 : 먹이 피라미드와 생태계의 평형
더 알아보기_먹이사슬, 에너지 사슬 110
함께 살아가는 생물 112
(관련 교과) 5학년 1학기 _ 5. 꽃 : 나비가 꽃 주위로 모여드는 까닭
(관련 교과) 5학년 2학기 _ 1. 환경과 생물 : 생물의 상호작용
더 알아보기_사람과 세균의 공생관계 124
환경오염 126
(관련 교과) 6학년 1학기 _ 6. 여러 가지 기체 : 여러 가지 기체와 우리 생활
(관련 교과) 6학년 2학기 _ 3. 쾌적한 환경 : 여러 가지 환경오염
더 알아보기_토양 오염 줄이기 146
환경과 우리 미래 148
(관련 교과) 5학년 2학기 _ 1. 환경과 생물 : 사람과 환경
(관련 교과) 6학년 2학기 _ 3. 쾌적한 환경 : 여러 가지 환경 보전 방법
더 알아보기_생명의 미래 160 1
마치는 이야기 160
부록 : 한눈에 펼쳐보는 자연환경과 생태계 164
찾아보기 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