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청소년 > 청소년 > 청소년 역사,인물
역사가 좋아지는 한국사 이야기 : 선사.고대편 이미지

역사가 좋아지는 한국사 이야기 : 선사.고대편
다른세상 | 청소년 | 2012.10.12
  • 정가
  • 12,800원
  • 판매가
  • 11,520원 (10% 할인)
  • S포인트
  • 576P (5% 적립)
  • 상세정보
  • 16.7x21 | 0.445Kg | 224p
  • ISBN
  • 9788977661509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품절된 상품입니다.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궁금증을 불러일으키는 500만 년 전의 까마득한 우리 조상들의 이야기를 생생하게 담았다. 연대별로 단순하게 나열된 역사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재미있는 이야기 속에서 역사의 흐름을 읽고 그들의 삶을 이해하는 역사책이다. 선사시대 여행을 통해 지식과 상상력으로 역사를 밝혀내는 흥미진진한 과정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생생한 사진 자료를 보며 그 의미와 쓰임새를 추론하고 살아있는 역사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했다. 그리고 고고학을 공부한 저자가 상세하고 전문적인 해설을 청소년들도 쉽게 읽을 수 있도록 재미있게 담아냈다.

또한 우리나라 곳곳에 선사시대 자료들을 소장하고 있는 박물관 소개를 부록으로 담아, 이 책을 읽고 선사시대에 흥미를 느낀 독자들이 우리나라의 선사시대 유적지를 직접 돌아볼 수 있게 하였다.

  출판사 리뷰

쓰레기 더미도 중요한 고고학 자료이다? 토기에 아름다운 무늬가 있는 이유는?
들을수록 신기한 선사시대 이야기!


여러분은 선사시대라고 하면 무엇을 가장 먼저 떠올리나요? 고릴라처럼 온몸에 털이 무성한 유인원? 돌도끼를 들고 가죽옷을 걸친 원시인? 선사시대 사람들도 지금의 우리들과 비슷한 생각을 하며 주어진 환경에 적응하며 살았다면 믿어지시나요?
선사인들도 지금의 우리들처럼 편리한 도구를 만들어 사용하고, 농사를 짓고 제사를 지냈습니다. 또한 멋진 예술 작품을 만들고 주변을 아름답게 장식할 줄도 알았지요. 동굴을 꽃으로 장식하기도 하고, 자신의 소망을 담아 바위 위에 그림을 그리기도 했습니다.
『역사가 좋아지는 한국사 이야기: 선사.고대편』은 궁금증을 불러일으키는 500만 년 전의 까마득한 우리 조상들의 이야기를 생생하게 담았습니다. 유물과 유적들이 들려주는 재미있고 생생한 우리 조상들의 옛 이야기에 귀 기울여 보세요. 선사시대 여행을 통해 지식과 상상력으로 역사를 밝혀내는 흥미진진한 과정을 경험하게 될 것입니다.

1. 스스로 생각하고 상상하는 역사 이야기
움집의 화덕자리 옆에는 토기 저장 시설이 있었다. 이곳에 무엇을 보관했을까? 바로 소금이다. 당시 소금은 매우 귀하게 취급되었기 때문에 토기 안에 소중하게 보관하였고, 열기를 낮추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화덕 옆에 두었던 것이다.
이처럼 실제 유물과 유적을 토대로 지식과 상상을 더해 옛 사람들의 삶을 그려보는 것이 바로 선사.고대의 역사이다. 선사시대를 알기 위해서는 과학적 지식과 상상력을 모두 동원해야 한다. 선사시대는 고고학자들의 과학적 연구는 물론이고, 다양한 추론과 상상으로 복원된 결과물이다. 당시 사람들의 집터, 도구, 뼈와 무덤을 보고 그들의 삶이 어떠했는지 짐작해 보는 것이다.
이 책을 통해 아이들은 암기하고 공부하는 역사가 아니라, 추론하고 탐구하는 역사, 자유롭게 상상하며 만들어가는 역사를 만날 수 있다.

2. 흥미롭고 깜짝 놀랄 만한 숨겨진 역사 이야기가 가득!
인류는 다른 영장류와 달리 두 발로 걸었다. 신석기시대에는 농사를 짓기 시작했다. 청동거울은 우리나라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유물이다.
여기까지가 교과서나 다른 역사책에서 흔히 다루어지는 내용이다. 다 알고 있는 내용인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이 중에서 우리가 제대로 알고 있는 것은 얼마나 될까?
사람이 왜 두 발로 걷기 시작한 것인지는 알고 있는가? 선사인은 밥을 먼저 만들어 먹었을까, 떡을 먼저 만들어 먹었을까? 비치치도 않는 거울을 도대체 어디에 썼을까?
『역사가 좋아지는 한국사 이야기: 선사.고대편』은 연대별로 단순하게 나열된 역사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재미있는 이야기 속에서 역사의 흐름을 읽고 그들의 삶을 이해하는 역사책이다.

3. 생생한 사진 자료와 함께 고고학 전문가가 들려주는 상세한 해설
『역사가 좋아지는 한국사 이야기: 선사.고대편』은 글로만 읽는 역사가 아닌, 실제 유물을 보고 체험해보는 역사책이다. 생생한 사진 자료를 보며 그 의미와 쓰임새를 추론하고 살아있는 역사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했다. 그리고 고고학을 공부한 저자가 상세하고 전문적인 해설을 청소년들도 쉽게 읽을 수 있도록 재미있게 담아냈다.
또한 우리나라 곳곳에 선사시대 자료들을 소장하고 있는 박물관 소개를 부록으로 담아, 이 책을 읽고 선사시대에 흥미를 느낀 독자들이 우리나라의 선사시대 유적지를 직접 돌아볼 수 있게 하였다.

봄꽃이라고 하면 진달래가 가장 먼저 떠오르지요. 반대로 진달래하면 또 자연스럽게 봄이 떠오르고요. 진달래는 산을 넘고 강을 건너 우리나라에 봄소식을 전해주는 꽃입니다. 진달래는 산성 토양을 좋아하는 식물입니다. 우리나라는 땅의 대부분이 산성을 띱니다. 그래서 진달래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봄꽃이 되었지요.
그런데 이상한 점이 한 가지 있습니다. 두루봉 동굴의 땅은 알칼리성이라는 것입니다. 알칼리성 토양에서는 진달래가 자랄 수 없습니다. 아마도 그곳에 살던 누군가가 멀리서 진달래를 꺾어 가지고 온 것이겠지요. 그렇다면 그 사람은 왜 진달래를 가져왔고, 또 무엇에 쓰려 했을까요?
-중략-
두루봉 지역에 살았던 당시 사람들도 일상의 아름다운 모습이나 느낌을 꽃을 통해 예쁘게 표현하였던 것입니다. 아마도 두루봉 2굴에 살았던 사람은 ‘꽃을 사랑한 이 땅의 첫 사람’일 것입니다.
-‘꽃을 좋아한 구석기인이 있었다?’ 중에서

어느 전직 FBI 요원은 “누군가에 대한 정보를 가장 쉽게 찾을 수 있는 방법은 쓰레기통을 뒤지는 것이다.”라고 말했습니다. 실제로 범죄 수사를 할 때 가장 먼저 하는 일도 용의자의 집 쓰레기통을 조사하는 일이지요. 쓰레기통은 어떤 사람이 그날 하루 무엇을 먹고, 보고, 사용했는지 한눈에 알 수 있는 곳이니까요.
쓰레기통을 뒤지는 사람들은 경찰만이 아닙니다. 고고학에서도 쓰레기를 연구하는 분야가 있습니다. 일정 지역의 쓰레기 더미를 보면 그 지역 사람들의 생활수준은 어떤지, 식생활이나 습관, 취미는 어떤지 다양한 것들을 알 수 있지요. 이러한 연구를 ‘쓰레기 고고학(garbage archaeology)’이라고 합니다. 재미있는 이름이지요?
선사시대 해안이나 강가에 살았던 사람들의 쓰레기를 연구할 수 있는 곳이 있습니다. 바로 당시 사람들이 먹고 버린 조개껍데기를 한 곳에 쌓아둔 ‘조개무지’입니다.
-중략-
조개무지 유적지에서 나온 조개들은 그 유적지의 입지조건에 따라 종류도 달라요. 대부분이 큰 굴 껍질인데, 굴이 신석기시대 해안가에 살던 사람들의 주된 식량으로 이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조개는 칼로리도 낮고 조개류 중에는 먹을 수 없는 것들도 많아 식생활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하지만 언제든지 쉽게 채집할 수 있었기 때문에 식단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음식이었습니다.
-‘쓰레기 더미도 중요한 고고학 자료가 된다?’ 중에서

  작가 소개

저자 : 박정근
중앙대학교와 동 대학원에서 사학을 공부하셨고, 충북대학교에서 사학과 박사 과정을 공부했습니다. 중앙대학교, 충북대학교, 방송통신대학교, 명지대학교 등에서 고고학과 한국문화사를 가르쳤고, 세종대학교박물관 특별연구원을 역임하였습니다. (전)천안전문대학 교수를 거쳐 지금은 한국선사예술연구소 소장으로 연구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목차

1장 구석기 시대

1. 인류는 왜 두 발로 걷기 시작했을까?
2. 인류는 처음부터 ‘돌’로 도구를 만들었을까?
3. 불은 어떻게 처음 피웠을까?
4. 한반도에 첫 발을 디딘 사람은 누구일까?
5. 집은 처음 어떻게 만들었을까?
6. 어떤 옷을 입었을까?
7. 멋진 예술 작품을 만들었다고?
8. 무덤은 왜 만들었을까?
9. 사람이 사람을 잡아먹었다고?
10. 꽃을 좋아한 구석기인이 있었다?
11. ‘흑요석’은 어디에 쓰였을까?
12. 구석기인의 일생은 어땠을까?
13. 우리나라 역사의 첫 장을 마련해 준 유적지는?
14. 최초로 해외에 소개된 우리나라 구석기 유적지는?

2장 신석기 시대

1. 뗀석기를 갈아서 쓴 이유는 무엇일까?
2. 토기에 왜 아름다운 무늬를 만들었을까?
3. 인류는 농사를 지으면서 더 잘살게 되었다?
4. 밥이 먼저일까, 떡이 먼저일까?
5. 소금은 언제, 어떻게 만들었을까?
6. 쓰레기더미도 중요한 고고학 자료가 된다?
7. 가축은 어떻게 키우기 시작했을까?
8. 신석기인의 결혼은 어땠을까?
9. 최초의 직업병 환자는 누구일까?
10. 예술품에는 신앙의식이 담겨있다?
11. 삼각형돌칼에는 어떤 염원이 담겨있을까?
12. 신석기인도 액세서리를 하고 다녔다?

3장 청동기 시대

1. 대장장이는 왜 특별했을까?
2. 우리나라에는 청동기가 언제 들어왔을까?
3. 청동거울은 비치지 않는다?
4. 한반도는 세계 고인돌 문화의 중심지이다?
5. 고인돌 덮개돌의 구멍은 별자리 모양이다?
6. 왜 바위에 그림을 새겨 놓았을까?
7. 청동무기를 만들면서 사람들의 생활은 어떻게 달라졌을까?
8. 비파형동검을 보면 고조선의 영토가 보인다?
9. 단군신화에 우리 역사가 담겨 있다?

  회원리뷰

리뷰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