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아기였던 벤틀리가 할아버지가 되어 세상을 떠나기까지의 여정을 잔잔하게 들려주는 텍스트에 운율 있는 노래와 귀여운 삽화가 곁들여진 책이다. 무엇이든 이것저것 척척 만들 수 있는 나무를 좋아해 목수가 되었고, 가정을 이루었고, 언제나 노래를 불렀던 벤틀리 비버는 평범하지만 누구보다 행복한 삶을 살았다.
아이들은 자신의 일과 식구들, 음악을 사랑하고, 소박한 생활에 만족하며 살다 간 벤틀리 비버의 이야기를 보면서 진정한 행복의 의미에 대해서 생각해 볼 수 있다. 또한 곳곳에 등장하는 벤틀리의 노래를 소리 내어 읽다 보면 감동이 더해진다.
특히 책의 삽화는 섬세하면서도 가벼운 선으로 벤틀리 가족의 일상과 감정들을 생생하게 담아냈다. 그래서인지 초록색과 갈색 톤만을 사용한 그림이 전혀 지루하지 않고 오히려 자연 속에서 소박하게 살아가는 비버 가족의 삶이 현실적이고 생생하게 느껴진다.
출판사 리뷰
태어나서 세상을 떠나기까지
비버 아저씨가 들려주는 행복한 인생 노래
평범하지만 행복하게 살다 간 비버 벤틀리의 삶을 따뜻하게 담아 낸 동화『행복한 목수 비버 아저씨』가 비룡소에서 출간되었다. 아기였던 벤틀리가 할아버지가 되어 세상을 떠나기까지의 여정을 잔잔하게 들려주는 텍스트에 운율 있는 노래와 귀여운 삽화가 곁들여진 이 책은 진정한 행복이 무엇인지를 생각해 보게 한다. 마조리 W. 샤맷의 아버지는 가구를 만들어 파는 도매상이었는데, 그녀는 초록색 덧문이 달린 하얀 집을 정말 좋아했다고 한다. 작가는 평생 나무를 사랑하고 가족을 사랑했던 아버지의 모습을 책 속에 고스란히 담고 있다. 맨 마지막 페이지에는 작가의 아들이 작곡했다는 벤틀리의 노래가 실려 있다.
내 인생은 멋졌다네
“내 인생은 멋졌다네. 나무 덕분에 멋졌고 당신과 함께 살아서 멋졌다네. 마음이 아플 때도 있었고 실수도 조금 했지만 한두 가지는 깨우쳤다네. 재밌는 이야기도 들려주고 망치질도 열심히 하면서 즐거운 여행처럼 살았다네. 나쁜 일이 생길 때면 즐거운 노래를 부르면서 감자칩을 먹었다네.”
할아버지가 된 벤틀리가 난롯가에 앉아 뜨개질하는 부인 옆에서 노래를 부른다. 어느 가을날 목수 엄마 아빠에게서 태어나, 나무 집짓기 놀이를 하고, 학교에 가고, 사랑하는 친구와 결혼을 하고, 손수 예쁘고 튼튼한 집을 짓고, 아들딸을 낳고, 손자들의 재롱도 보면서 행복하게 살았던 자기 삶을 회상하면서 부른 인생 노래이다. 무엇이든 이것저것 척척 만들 수 있는 나무를 좋아해 목수가 되었고, 가정을 이루었고, 기쁠 때나 슬프고 두려울 때나 노래를 불렀던 벤틀리 비버는 평범하지만 누구보다 행복한 삶을 살았다. 아이들은 자신의 일과 식구들, 음악을 사랑하고, 소박한 생활에 만족하며 살다 간 벤틀리 비버의 이야기를 보면서 진정한 행복의 의미에 대해서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곳곳에 등장하는 벤틀리의 노래를 소리 내어 읽다 보면 감동이 더한다. 부모님들도 함께 읽으면서 자신이 살아온 길에 대해, 행복한 가정에 대해, 자녀가 살아갈 길에 대해 자녀와 이야기 나누기에 좋은 책이다.
표정이 살아 있는 사랑스러운 삽화
그림을 그린 릴리언 호번은 리얼리즘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연필 선 몇 개만으로도 대상의 표정과 감정을 풍부히 살려 낸다는 평을 받고 있다. 이 책에서도 섬세하면서도 가벼운 선으로 벤틀리 가족의 일상과 감정들을 생생하게 담아냈다. 그래서인지 초록색과 갈색 톤만을 사용한 그림이 전혀 지루하지 않고 오히려 자연 속에서 소박하게 살아가는 비버 가족의 삶이 현실적으로 다가온다. 마치 가까운 숲 속에 가면 초록색 멜빵바지를 입은 사랑스러운 비버들이 반갑게 맞아줄 것만 같다.
벤들리는 점점 더 큰 집을 지었어요.
그리고 마침내 어른이 되었지요.
"우리 엄마는 목수.
우리 아빠도 목수.
이제 나도 목수야."
밴틀리는 집을 짓고 또 지었어요.
벤틀리가 말했어요.
"나무를 만지면 기분이 좋아.
나무를 세우거나 판판하게 눕히거나
비스듬하게 기울이면 여러 가지 모양을
만들 수 있거든."
p.25
작가 소개
저자 : 마저리 와인먼 샤매트
1928년 미국 포틀랜드에서 태어나 130권이 넘는 어린이 책을 쓴 여성 작가. 그녀의 책들은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전 세계에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그녀의 어린 시절 꿈은 탐정이 되는 것이었는데, 이런 꿈이 그녀의 대표작 『네이트 더 그레이트 (Nate the Great)』 시리즈를 쓰는 계기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