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구전만이 가지는 강력한 힘을 되찾고자 딱딱한 책 속에 갇힌 이야기들을 풀어주기 위해 기획했다. 고정된 이야기로 남기보다 읽는 사람 마음대로 바꿔 읽기를 권한다는 점에서 옛이야기의 참맛을 살린다. 책 말미에 붙어 있는 작가의 말은 '이 시대 마지막 이야기꾼인 세상의 모든 어버이들에게' 보내는 당부를 담았다.
출판사 리뷰
말랑말랑 자유로운 옛이야기 들려주기
옛이야기의 힘은 사람에 따라, 상황에 따라 이야기가 얼마든지 바뀐다는 데 있다. 다정하고 활기찬 엄마가 기분 좋은 하루를 보냈다면 이야기는 한없이 길고 아기자기해질 것이다. “옛날 옛날 아주아주 먼 옛날, 호랑이가 담배 피우고 토끼가 서당에 다니던 시절이었는데, 어느 깊고 깊은 산골에…….” 반면, 무뚝뚝한 엄마가 고된 노동에 지쳐 있다면 “옛날에 엄마랑 애들이 살았는데 호랑이가 와서 다 먹어버렸다. 끝! 이제 그만 눈 감고 자!” 하고는 정말 끝나 버릴 것이다. 어쩌면 옛이야기는 이야기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 사이의 또다른 의사소통 방법이었는지도 모른다.
그런데 어느 때부터인가 옛이야기는 듣는 것이 아니라 읽는 것이 되었다. 책에 활자로 박힌 이야기는 완강하다. 그래서 귀찮아진 엄마가 슬쩍 빼먹기라도 하면 대번에 고함이 터져 나온다. “엄마, 호랑이가 참기름을 발라야지!” 빤히 눈앞에 보이는 글자들이 있으니 대충 넘어가자고 할 수도 없는 것이다. 그러니 이야기를 바꾼다는 건 여간해서 쉽지 않다. 아주아주 오랜 옛날 호랑이가 담배 먹던 시절부터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는 이제 박제가 되어 버린 걸까?
『심청이가 무슨 효녀야?』는 ‘구전만이 가지는 강력한 힘’을 되찾고자 딱딱한 책 속에 갇힌 이야기들을 풀어내주기 위해 기획된 책이다. 책 말미에 붙어 있는 작가의 말은 “이 시대 마지막 이야기꾼인 세상의 모든 어버이들에게” 보내는 당부를 담고 있다.
오늘도 아이들에게 옛이야기를 들려주는 어머니 아버지들이 이 책을 읽고 마음대로 이야기를 바꿔 들려줄 수 있는 용기를 가지게 된다면 나로선 가장 기쁠 것입니다. 구전만이 가지는 강력한 힘을 이야기는 되찾아야 합니다. 그것만이 지금까지 이야기가 살아남을 수 있는 힘이었고, 앞으로도 그것이 잘 살아갈 수 있는 힘이니까요.
『심청이가 무슨 효녀야?』역시 옛이야기를 책 꼴로 만들어내는 작업임에는 틀림없지만 고정된 이야기로 남기보다 읽는 사람 마음대로 바꿔 읽기를 권한다는 점에서 옛이야기의 참맛을 살리고 있는 것이다.
2008년, 우리 아이들이 읽는 옛날 이야기
‘우리 나라 편’과(심청이 무슨 효녀야?) ‘다른 나라 편’으로(곧 출간) 나뉘어 있는 <옛이야기 딴지걸기>는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유명한 이야기들을 비틀고 바꾸어 새로운 재미를 주고 있다. 작가는 오래 전 자녀들에게 이야기를 들려주면서 안타까웠거나 못마땅했거나 아쉬웠던 내용들을 입맛에 맞게 바꿔 놓았는데, 여기에는 편견 없고 자유로운 아이들의 시각이 듬뿍 담겨 있다. 「선녀와 나무꾼에겐 아이들도 있다고!」에서는 원래 이야기 속에 잠깐만 언급이 되는 아이들에 주목해, 선녀 엄마와 나무꾼 아빠의 재결합을 위해 아들 딸이 보이지 않게 힘을 쓴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주어진 과제를 풀어야 한다거나 뛰어난 능력보다는 착한 마음씨 덕분에 성공에 이른다거나 하는 옛이야기의 형식에도 충실하면서 오늘날의 적극적인 아이들의 모습을 제대로 보여주고 있다.
한편, 「심청이 무슨 효녀야?」와 「알고 보면 팥쥐도 가엾어!」는 오랫동안 나쁜 사람으로 찍혀 있던 뺑덕 어멈과 팥쥐를 제 나름의 입장과 사연을 지닌, 개성 넘치는 인물들로 바꿔 놓았다. 술 잘 먹고 욕 잘하는 뺑덕 어멈의 캐릭터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도 ‘술 잘 먹고 욕 잘해도 좋은 사람일지 모른다’는 착한 생각을 반영해 놓은 결과다. 우렁이 각시를 아이 맘을 잘 알아주는 우렁이 엄마로 바꾸어 놓거나(「우렁이 엄마가 우리 엄마라면!」) 꿋꿋한 절개로 신분상승을 이루는 춘향이 대신 당찬 성격으로 자유로운 삶을 선택하는 춘향이(「이 도령이 암행어사가 안 됐으면?」)를 그려 보이는 것 역시 2008년 오늘을 살아가고 있는 아이들에게 코드를 맞춘 결과다.
각각의 이야기 한편 한편에는 작가가 들려주는 집필 의도와 뒷이야기 등이 담겨 있어 보다 깊이 있는 책읽기가 가능하다. 하지만 뭐니뭐니 해도 『심청이 무슨 효녀야?』를 제대로 읽는 법은, 다 읽고 난 다음에 또다른 이야기를 생각해내는 것이다. 앞 못 보는 심봉사에게는 어떤 답답한 속내가 있었는지, 변사또는 정말 나쁜 사람인지 등등. 이렇게 저렇게 생각해 보고 신나게 이야기를 지어내노라면, 할머니의 할머니의 할머니의 할머니의…… 할머니에게서 아득히 전해져 내려오는 이야기꾼의 본능을 되찾게 될지도 모르겠다.
심 선비는 할 수 없이 아이 손에 이끌려 공궐로 터벅터벅 걸어갔지. 궁궐에 들어가니 이런 잔치가 없어. 온갖 산해진미 냄새가 코를 찌르고, 흥겨운 음악이 사방에 울려 퍼지고, 눈 안 보여도 하나 불편하지 않게 어여쁜 시녀들이 일일이 시중을 들어 음식을 먹여 주니 앞 못 보는 백성들, 태어나 이런 호강이 처음이야.
심 선비도 꺼억, 배부르게 음식을 먹고 일어서는데, 갑자기 누군가 곁으로 다가오더니 덜컥 제 팔을 붙드는 거야.
"아니, 뉘시오? 왜 이러시오?"
심 선비가 깜짝 놀라 묻는데, "애고, 아버지! 인당수에 빠져 죽은 청이가 살아 왔소!"
청이 목소리가 아니겠어?
"청이라니? 우리 청이 말이냐? 어디 보자, 우리 딸!" 하는데 그만 심 선비 눈이 상처 딱지 떨어지듯 활짝 뜨였어!
그 순간이었어.
심 선비 눈이 드이는 동시에 그 자리에 모인 모든 맹인들 눈이 한꺼번에 떠진 거야. (70~71쪽, '심청이 무슨 효녀야?' 중에서)
목차
선녀와 나무꾼에겐 아이들도 있다고!
심청이 무슨 효녀야?
우렁이 엄마가 우리 엄마라면!
알고 보면 팥쥐도 가엾어!
이 도령이 암행어사가 안 됐으면?
작가의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