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저자 : 김윤식
1936년 경남 진영 출생. 서울대 명예교수. 1962년 『현대문학』을 통해 문학평론가로 등단, 1968년 서울대 교양과정부 전임강사, 1975년 서울대 국문과 교수로 재임한 이래 문학사, 문학사상사, 작가론, 예술론, 비평, 에세이 등 광범위한 영역에서의 연구와 글쓰기를 통해 한국 현대문학사의 기틀을 닦았으며 독보적인 학문적·문학적 성과를 이룩했다. 1973년 현대문학 신인상, 1987년 한국문학 작가상, 대한민국문학상(평론 부문), 1989년 김환태평론문학상, 1991년 팔봉비평문학상, 1994년 요산문학상, 2002년 대산문학상, 2008년 청마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문학사·문학사상 연구의 대표적 저서로는 『한국근대문예비평사연구』(1973), 『한·일 근대문학의 관련양상 신론』(2001), 『한국근대문학양식논고』(1980), 『한국근대문학사상사』(1984), 『한국근대문학사상연구 1』(1984), 『한국현대문학사상사론』(1992), 『한국근대문학사상연구 2』(1994), 『한·일 근대문학의 관련양상 신론』(2001), 『일제 말기 한국 작가의 일본어 글쓰기론』(2003), 『해방공간 한국 작가의 민족문학 글쓰기론』(2006), 『일제 말기 한국인 학병세대의 체험적 글쓰기론』(2007) 등이 있다. 작가론의 대표적 저서로는 『이광수와 그의 시대』(1986), 『염상섭 연구』(1987), 『김동인 연구』(1987), 『이상 연구』(1987), 『임화 연구』(1989), 『김동리와 그의 시대』(1995), 『백철 연구』(2008) 등이 있다. 현장비평의 대표적 저서로는 『우리문학의 넓이와 깊이』(서래헌, 1979), 『우리 소설의 표정』(문학사상사, 1981), 『작은생각의 집짓기』(나남, 1985), 『현대 소설과의 대화』(현대소설사, 1992), 『소설과 현장비평』(새미, 1994), 『김윤식의 소설 현장비평』(문학사상사, 1997), 『우리 소설과의 대화』(문학동네, 2001), 『현장에서 읽은 우리 소설』(강, 2007), 『혼신의 글쓰기 혼신의 읽기』(강, 2011) 등이 있다.기행문, 예술론 자전적 글쓰기의 대표적 저서로는 『문학과 미술 사이』(1979), 『황홀경의 사상』(1984), 『환각을 찾아서』(1992), 『설렘과 황홀의 순간』(1994), 『천지 가는 길』(1997), 『아득한 회색, 선연한 초록』(2003), 『내가 읽고 만나 파리』(2004), 『비도 눈도 내리지 않는 시나가와역』(2005), 『내가 살아온 20세기 문학과 사상』(2005), 『내가 읽고 만난 일본』(2012) 등이 있다. 그리고 『김윤식 선집(전7권)』(1996~2005)이 있다.
책을 펴내며
<제2권, 세상을 향해 눈뜬다>의 체제와 내용
김억, 봄은 간다
홍사용, 나는 왕이로소이다
김영랑, 청명
정지용, 나비
노천명, 망향(望鄕)
오장환, 귀향의 노래
김기림, 못
박목월, 나그네, 하관
신석정, 꽃덤불
박두진, 어서 너는 오너라, 해
김규동, 나비와 광장
서정주, 무등을 보며
한하운, 나
신석초, 바라춤
이호우, 개화
구상, 초토의 시·8
박봉우, 휴전선
김수영, 어느 날 고궁을 나오면서, 푸른 하늘을
유치환, 뜨거운 노래는 땅에 묻는다
조병화, 의자·7
신동엽, 종로 5가, 껍데기는 가라
황동규, 기항지·1
김광섭, 성북동 비둘기
김춘수, 샤갈의 마을에 내리는 눈
김종길, 성탄제
김준태, 참깨를 털면서
김종삼, 민간인
신경림, 농무, 목계 장터
이성부, 벼
조태일, 국토 서시
김지하, 서울 길, 타는 목마름으로
김광규, 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
이성복, 그날
황지우,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
고정희, 여자가 뭉치면 새 세상 된다네
박형준, 가구의 힘
문태준, 가재미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