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 송호정
한국교원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저서로 『처음 읽는 부여사』 『단군, 만들어진 신화』 『한국 고대사 속의 고조선사』 『아틀라스 한국사』(공저) 『한국생활사박물관』(공저) 『미래를 여는 한국의 역사』(공저) 『아! 그렇구나 우리 역사』(공저) 『타임캡슐 우리 역사』(공저)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 「고조선 국가형성 과정 연구」 「고조선·부여의 국가 구조와 정치 운영」 등이 있다.
≪
아! 그렇구나 우리 역사≫ 개정판을 펴내며
1. 두 다리로 처음 서서 올려다본 하늘 - 구석기 시대의 자연과 사람사람은 언제 사람이 되었을까?
구석기 시대의 땅과 하늘
한반도에 살았던 사람들
|연표| 원시 시대 인류가 발달한 과정
2. 야생에서 인생으로 - 구석기 시대 사람들의 생존채집, 자연이 감추어 놓은 보물 찾기
사냥, 단백질을 찾아서
불, 하늘의 축복이자 재앙
3. 동물 무리에서 인간 가족으로 - 구석기 시대 사람들의 사회구석기 사람의 보금자리, 동굴
구석기 사람도 옷을 입었다
구석기 사람들의 사회
|한걸음 더 나아가기| 언어는 언제 생겨났을까?
예술은 어떻게 생겨났을까?
|이야깃거리| 우리 땅에는 언제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했을까?
4. 자연에서 인공의 세계로 - 신석기 혁명떠돌이 생활은 끝, 정착 생활을 시작하다
신석기 시대 우리 땅의 자연 환경
생산, 자연에서 인공의 세계로
사냥에서 유목으로
|한 걸음 더 나아가기| 사람은 농사를 어떻게 짓기 시작했을까?
신석기 시대를 알리는 제주도 고산리 유물들
5. 암사동 사람들 - 신석기 시대의 마을과 빗살 무늬 토기물가의 안락한 보금자리
내일을 담는 저장 용기, 질그릇을 발명하다
|한걸음 더 나아가기| 질그릇은 어떻게 등장했을까?
질그릇 사용으로 사람들 생활은 어떻게 달라졌을까?
신석기 시대의 질그릇 만들기
6. 신석기 사람은 어떻게 살았을까 - 혼례에서 장례까지씨족 사회의 혼인
생각보다 세련된 신석기 시대의 유행
씨족 회의를 이끄는 어른, 촌장
네 팔찌가 좋으니 내 그릇과 바꾸자!
장례식, 죽음의 슬픔을 딛고
신석기 사회의 운영 원리, 자연물 숭배
|연표| 신석기 문화가 발달한 과정
|이야깃거리| 한국인, 당신은 누구인가?
구석기 유적 지도
신석기 유적 지도
나는 역사 탐험가 - 암사동 선사 유적지
원시 시대 이야기를 마치며
사진 제공
참고 문헌
≪
아! 그렇구나 우리 역사≫ 개정판을 펴내며
1. 청동기를 손에 쥔 지배자 - 불평등과 계급
청동으로 만든 도구의 시대
풍요와 빈곤이 생겨나다
전쟁과 방어벽 탄생
|한걸음 더 나아가기| 반구대의 숨은 그림 찾기
2. 우리 겨레가 처음 세운 나라, 고조선 - 고조선과 단군 신화
역사의 무대에 등장하다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하고자 나라를 열다 - 단군 신화
고조선은 어디에 있었나
|한 걸음 더 나아가기| 후대로 이어진 단군 신화의 전통
|이야깃거리| 개천절의 유래
3. 민무늬 토기와 고인돌의 세계 - 고조선 사람들의 삶과 문화
일터에서 - 생산활동
비단을 입은 그대, 삼베를 입은 나
먹을 거리와 민무늬 토기
집이 커지고 울타리도 생기고
제사는 산 사람들의 축제
고인돌이 말해 주는 것
|한 걸음 더 나아가기| 청동 거울 만들기
|이야깃거리| 고조선 사람들이 흰옷을 좋아한 까닭은?
4. 철기 시대의 힘센나라, 고조선 - 위만 조선과 8조법
힘센 나라가 된 고조선
위만 조선도 조선이다
고조선의 법과 질서
나라 밖 교류
| 한 걸음 더 나아가기| 순장과 노비를 아시나요?
5. 고조선과 삼국시대 - 전쟁과 계승
전쟁은 언제부터 시작되었을까?
고조선과 한의 전쟁
고조선과 삼국의 인연
6. 우리 고대사의 숨은 고리 - 부여·옥저·동예와 삼한
삼국지 위서 동이전의 세계
우리 역사에서 놓치고 있는 나라, 부여
옥저와 고구려
지금의 강원도 북부에 있었던 동예
한반도 남녘의 삼한
|이야깃거리| 우리 역사의 첫 문자 문명
나는 역사 탐험가| 강화도
고조선·부여·삼한 이야기를 마치며
|연표| 고조선·부여·삼한의 세계
사진제공
참고문헌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