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저자 : 윤동주
1917년 12월 30일에 태어나 1945년 2월 16일에 옥사한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 시인, 작가이다. 윤동주가 사망한 지 6개월 지나서 일제로부터 독립했으므로 생전에 조국의 독립을 보지는 못했다.일본 유학 중, 1943년 항일운동을 했다는 혐의로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후쿠오카 형무소(福岡刑務所)에 투옥, 100여 편의 시를 남기고 27세의 나이에 옥중에서 요절하였다. 사인이 일본의 소금물 생체실험이라는 견해가 있고 그의 사후 일본군에 의한 마루타, 생체실험설이 제기되었으나 불확실하다. 사후에 그의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가 출간되었다.민족적 저항시인, 강인한 의지와 부드러운 서정을 지닌 시인으로 평가되며, 그의 시는 생활에서 우러나오는 내용을 서정적으로 표현하였으며, 인간과 우주에 대한 깊은 사색, 식민지 지식인의 고뇌와 진실한 자기성찰의 의식이 담겨 있다고 평가된다.
새로운 세기의 시작과 민족의 아픔(1910~1920년대)
김소월 못 잊어
김소월 산유화
김소월 삭주구성
김소월 진달래꽃
한용운 복종
한용운 알 수 없어요
한용운 님의 침묵
어두운 역사와 민족 공동체의 분리(1930년대~광복 전)
김광균 와사등
김광균 추일 서정
김기림 바다와 나비
김상용 남으로 창을 내겠소
김영랑 모란이 피기까지는
김영랑 연 2
김영랑 북
김영랑 오월
박목월 나그네
백석 고향
백석 수라
백석 여승
백석 팔 원 - 서행시초 3
백석 흰 바람벽이 있어
신석정 들길에 서서
신석정 그 먼 나라를 알으십니까
유치환 바위
윤동주 또 다른 고향
윤동주 서시
윤동주 쉽게 씌어진 시
윤동주 자화상
윤동주 길
윤동주 십자가
윤동주 참회록
윤동주 간
이용악 우라지오 가까운 항구에서
이육사 광야
이육사 노정기
이육사 교목
이육사 절정
이육사 청포도
이육사 꽃
정지용 바다 1
정지용 유리창
정지용 장수산 1
정지용 향수
정지용 비
조지훈 낙화
역사의 격동기에 전개된 다양한 문학 활동(광복 후~1970년대)
김광섭 성북동 비둘기
김광섭 저녁에
김남조 겨울 바다
김수영 눈
김수영 사랑
김수영 어느 날 고궁을 나오면서
김수영 파밭 가에서
김수영 폭포
김수영 풀
김수영 기도 - 4 ·19 순국학도 위령제에 붙이는 노래
김종길 성탄제
김종삼 묵화
김춘수 꽃
김현승 플라타너스
김현승 꿈
박두진 해
박목월 나무
박목월 산도화 1
박재삼 추억에서
박재삼 흥부 부부상
서정주 동천
서정주 추천사 - 춘향의 말 1
서정주 춘향 유문 - 춘향의 말 3
서정주 꽃밭의 독백 - 사소 단장
신경림 갈대
신경림 나목
신경림 목계 장터
신경림 떠도는 자의 노래
신동엽 봄은
신동엽 산에 언덕에
신석정 꽃덤불
심훈 그날이 오면
이성부 벼
이용악 그리움
정한모 가을에
정호승 슬픔이 기쁨에게
정호승 희망을 만드는 사람이 되라
정호승 내가 사랑하는 사람
조지훈 풀잎 단장
민주화에 대한 열망과 문학적 지평의 확대(1980년대 이후)
강은교 우리가 물이 되어
고은 그 꽃
고은 머슴 대길이
고정희 우리 동네 구자명 씨
곽재구 새벽 편지
기형도 엄마 걱정
김광규 나
김용택 강 끝의 노래
김용택 그대 생의 솔숲에서
김용택 섬진강 1
김종삼 누군가 나에게 물었다
김지하 타는 목마름으로
김혜순 납작납작 - 박수근 화법을 위하여
나희덕 귀뚜라미
나희덕 땅끝
나희덕 배추의 마음
도종환 담쟁이
문정희 찔레
유안진 춘천은 가을도 봄이지
이성선 사랑하는 별 하나
이해인 살아 있는 날은
정현종 사람이 풍경으로 피어나
정호승 봄 길
정희성 민지의 꽃
정희성 숲
황동규 조그만 사랑 노래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