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구도완
한국환경연구원 연구위원, 환경부 장관자문관, 한국환경사회학회 회장, 환경운동연합 정책위원장 등을 역임했고 지금은 환경사회연구소 소장으로 일하고 있다. 환경운동, 생태민주주의, 생태전환 등에 관심을 두고 있으며, 저서로는 『한국 환경운동의 사회학』, 『마을에서 세상을 바꾸는 사람들』, 『생태 민주주의』 등이 있다.
지은이 : 김수진
베를린 자유대학교 정치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고려대 연구교수를 역임했다. 핵발전 안전 문제, 한국사회의 녹색전환, 정치의 공적 기능과 민주주의가 주요 관심 분야이다. 주요 저서로는 생명자유공동체총서《전환의 질문,질문의 전환》(2021,공저),《전환의 정치,열 개의 시선》(2022,공저), 《녹색 전환: 지속가능한 생태 사회를 위한 가치와 전략》(2020,공저)가 있다.
지은이 : 장우주
여성학 박사, 삼성꿈장학재단 팀장에코페미니스트 철학자. 여성, 자연, 가난과 배움에 관한 철학적 접근에 관심이 많으며 이와 관련된 일을 하고 있다. 대화문화아카데미에서 일했으며, <배곳 바람과물>의 기획위원으로 생태적인 삶을 꿈꾸며 살아가는 청년들의 네트워킹을 위한 사회교육에도 참여했다. 『덜 소비하고 더 존재하라』, 『Environmental Movements around the World : Shades of Green in Politics and Culture』등의 책에 공동저자로 글을 실었다.
지은이 : 최명애
다종 인류학과 인간 너머의 지리학을 통해 한국의 자연보전을 연구한다. 고래 관광과 포경, DMZ 두루미,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자연 보전, 생태관광 등을 연구했다. 현재 연세대 문화인류학과 조교수이다.
지은이 : 박순열
사회학 박사, (주)이너시티도시재생연구소 소장서울대, 가톨릭대, 호주국립대(ANU), 빅토리아대학(VUW) 등에서 생태민주주의, 생태시티즌십, 환경갈등, 지역발전 등을 연구하였다. 현재는 주)이너시티의 도시재생연구소 소장으로 사회적으로, 생태적으로 지속가능한 도시에 대해서 연구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사회는 코로나-19에 대처할 수 있는가?”, “지속가능성 전환의 관점에서 본 서울시 정책 평가”(공저), “정비사업 주민의식조사연구: 사회적 관계와 도시재생”(공저) 등이 있다.
지은이 : 서지현
글로벌 남반구의 발전을 고민하는 연구자. 영국 리버풀 대학교에서 중남미지역학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전북대학교 스페인·중남미연구소 전임연구원, 재단법인 숲과나눔의 박사후 펠로우를 거쳐, 현재는 부경대학교 국제지역학부 조교수로 일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라틴아메리카 발전론, 정치 생태학, 대안적 도시 거버넌스와 다층 공간 대안 정치 등이다. 대표 논문으로는 “에콰도르 아마존 빈민의 환경주의와 대안적 발전”, “도시 거버넌스 변화와 사회·공간적 함의: 브라질 리우 데 자네이루 파벨라의 사례”, “공동 자원 거버넌스와 자연의 신자유주의화: 페루 북부 안데스의 경험을 중심으로” 등이 있다.
지은이 : 안새롬
교육학 박사과정, 환경과교육연구소 연구원(재)숲과나눔 특정주제연구자로 일했고 현재는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환경교육 전공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다. 환경과교육연구소 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커먼즈 네트워크, 솔방울 커먼즈에 참여하고 있다. 주된 관심 분야는 생태적 전환과 커먼즈이고 주요 논문으로는 “전환 담론으로서 커먼즈: 대기 커먼즈를 위한 시론”, “지속가능성 전환의 관점에서 본 서울시 정책 평가: 공유도시와 에너지 전환을 중심으로”(공저) 등이 있다.
지은이 : 홍덕화
충북대 사회학과 부교수,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운영위원충북대학교 사회학과에 재직 중이며, 주요 관심 분야는 에너지전환, 대안적 발전모델, 환경운동 등이다. 주요 연구로 『한국 원자력발전 사회기술체제: 기술, 제도, 사회운동의 공동구성』, “에너지 민주주의의 쟁점과 에너지 커먼즈의 가능성”, “동북아 수퍼그리드와 에너지전환의 경로”, “수출주의 축적체제에서의 생태위기에 관한 시론적 연구”가 있다.
지은이 : 김지혜
환경학 박사이화여대 이화인문과학원 객원연구원
발간사_비인간, 전환의 상상력을 향하여(장재연) / 5
머리말_다종의 세계를 여행하는 지구거주자를 위한 안내서(최명애) / 7
들어가며
서장_비인간 연구의 지도 그리기: 현황과 과제(최명애) / 17
제1부 얽힘을 묻다
1장_비인간과 얽힌 세계, 무엇과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박순열) / 65
2장_누가 해양쓰레기를 증언하는가?(김지혜) / 94
1장과 2장의 대화 / 128
제2부 인간-비인간 공존과 긴장
3장_한국에서 반딧불이와의 공존 실천은 어떻게 형성되었는가?(안새롬) / 133
4장_철원의 농민과 두루미는 어떻게 생존을 도모하는가?(최명애) / 160
5장_도시에서 인간과 비인간 존재 야생 너구리가 공존할 수 있는 조건은?(장우주) / 191
3장과 4장, 5장의 대화 / 221
제3부 생태적 전환의 한계와 가능성
6장_자연기반해법과 자연금융은 기후생물다양성 위기 해결의 열쇠가 될 수 있을까?(홍덕화) / 227
7장_에너지전환 과정은 왜 딜레마에 빠지게 되었는가?(김수진) / 266
6장과 7장의 대화 / 301
8장_인간중심주의를 넘어서는 생태전환은 어떻게 이루어질까?(구도완) / 303
9장_플루리버스 관점은 칠레 아마카마 소금 사막의 주류적 기후 위기 대응의 대안이 될 수 있을까?(서지현) / 340
8장과 9장의 대화 / 364
부록
포럼 프로그램 / 368
저자 소개 / 377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