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박운선
ESG 부동산 경제학의 저자로서, 미래 부동산자산, 금융자산, 문화자산, 디지털자산 분야에 지속가능성과 가치 창출을 위한 혁신적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부동산 시장의 새로운 방향을 선도하는 전문가입니다.現) 한성대학교 대학원 부동산경제학 박사(국내1호)청주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박사캐롤라인대학교(미국)미래자산경영전공 교수(학사과정/석사과정/박사과정)한성대학교 부동산대학원 겸임교수국토부동산연구원 원장국유부동산연구원 전문연구위원한국유권자총연맹 국민정책평가원 선임연구원한국중소자영업총연합회(한국탄소중립실천국민운동본부) 교육원장前) 한국종합경제연구원 연구전문위원단국대학교 정책경영대학원 자산관리학과(석사과정) 주임교수저서 《ESG 부동산 경제학》, 《디지털자산과 부동산금융론》, 《ESG 공간자산 경제학》, 《부동산 자산관리론》, 《자산가격 변동과 한국경제》, 《도전하라! 음에 불경기는 없다》, 《수도권 자연보전권역내 자연휴양림의 경제적 치 분석》학위논문• 수도권 자연보전권역 자연휴양림의 비사용 가치에 대한 연구, 청주대학교(박사학위논문)• 주택하위시장별 특성가격 모형 추정에 관한 연구, 한성대학교(박사학위논문)• 有望中小企業의 資金管理 行態에 관한 硏究, 건국대학교(석사학위논문)• 직업체험활동의 효과성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석사학위논문)학술논문 외 다수• 성수동 수제화 산업의 ESG 실천과 공간문화자산 불평등 해소에 관한 연구• ESG기반 지속 가능한 문화자산 도플러 효과 연구• 공공개발택지정책에 관한 연구: 안양 연현지구를 중심으로• 한국기업의 해외부동산직접투자 진출에 대한연구• 국유재산관리실태 조사의 효율적 개선에 대한 연구• 상가권리금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상가 매매가격의 영향을 중심으로)
프롤로그
독자에게 보내는 책 - 부동산 산업에서 ESG의 중요성과 미래 역할
제1부 부동산 경제학의 기초 이론
제1장 부동산 경제학의 개론
1.1. 부동산 경제학의 정의와 학문적 위상
1.2. 부동산 시장의 구조와 특성
1.3. 부동산 경제학의 연구 방법론
1.4. 미래 부동산 시장의 변화와 핵심 기술
제2장 부동산 수요 이론
2.1. 수요의 기본 원리
2.2. 주택 수요 결정 요인
2.3. 상업용 부동산 수요 분석
2.4. 부동산 시장의 미래 전망
제3장 부동산 공급 이론
3.1. 공급의 경제학적 기초
3.2. 주택 공급 전략
3.3. 상업용 부동산 공급
3.4. 미래 주택 공급 전략의 변화
제4장 부동산 시장 균형
4.1. 균형 가격 형성 메커니즘
4.2. 시장 불균형 요인
4.3. 균형 회복 전략
4.4. 미래의 지속 가능한 부동산 시장
제5장 부동산 가격 결정 이론
5.1. 가격 형성 이론
5.2. 가격 평가 기법
5.3. 가격 변동성 분석
5.4. 미래 부동산 시장의 변화와 가치 평가
제2부 ESG의 개념 및 부동산 분야 적용
제6장 ESG와 부동산 개요
6.1. ESG의 개념과 부동산 시장에서의 중요성(잠재력)
6.2. 헤도닉 가격 모형과 ESG 요인의 통합 가능성
6.3. ESG 부동산 경제학 목적과 의의
6.4. ESG 경영의 중요성과 시장의 역할
제7장 헤도닉 가격 모형의 배경과 응용
7.1. 헤도닉 가격 구조의 기본 원리
7.2. 기존 가치평가 방법론의 한계 및 개선 필요성
7.3. ESG 요인을 반영한 모델 개선 방향
7.4. 헤도닉 가격 모델의 미래와 ESG 통합
제8장 ESG와 부동산 가치평가
8.1. 환경 요인(E)이 부동산 가치에 미치는 영향
8.2. 사회적 책임(S)과 지배구조(G) 요소의 통합적 가치 분석
8.3. 데이터 기반 ESG 평가 지표 개발
8.4. 부동산 가치 평가에 ESG 통합적용
제9장 글로벌 경쟁 연구: ESG와 부동산 시장
9.1. LEED 인증 기반의 시장 가치 분석
9.2. 지역별 ESG 적용 우수 연구
9.3. 데이터 분석 결과와 시사점
9.4. 지속 가능성과 ESG 경영
제3부 ESG를 고려한 부동산 가치평가 및 투자
제10장 지속 가능한 투자 전략 개발
10.1. ESG 포트폴리오 설계 방법론
10.2. 투자 자산의 ESG 성과 관리 및 장기 운영 전략
10.3. 투자자 관점에서 본 ESG 적용 효과
10.4. ESG 혁신 기술을 활용한 미래 ESG 전략
제11장 토지입지 분석과 ESG 통합 전략
11.1. 토지입지의 중요성과 ESG 요소
11.2. ESG를 고려한 토지 가치평가 방법론
11.3. 지속 가능한 토지이용계획과 ESG
11.4. ESG 토지입지 분석의 미래 전망
제12장 토지 ESG 개발 사례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