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2016년 4차 산업혁명부터 2020년 팬데믹 시기의 메타버스, 그리고 지금 ChatGPT로 대표되는 생성형 AI까지. 매순간 새로운 키워드가 세상을 뒤흔들고 있다. 기술의 발전 속도는 점점 더 빨라지고, 그만큼 사회에 미치는 영향도 크다. 이런 시대에 꼭 필요한 힘은 ‘적응력’이다. 세상의 변화를 읽고 현명하게 대응하는 과정이 중요하다.
이 책은 지금의 미디어 환경을 중심에 두고 문해력의 의미를 새롭게 풀어낸다. 뉴스, 유튜브, SNS, 영화와 웹툰, 게임까지. 미디어는 정보 습득과 여가, 더 나아가 직업과 경제적 이익과도 맞닿아 있다. 동시에 가짜뉴스, 알고리즘 과의존, 디지털 성범죄 등 부정적 문제도 깊게 스며 있다. 저자는 이런 양면성을 가진 미디어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사회적으로 소통하며,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힘을 ‘미디어 문해력’이라 정의한다.
“AI가 당신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AI를 활용하는 사람이 당신을 대체한다.” 책은 이 말을 청소년에게 전한다. 빠르게 변하는 시대 속에서 무기력감에 빠지기보다, 주체적으로 사고하고 진취적으로 나아가는 태도를 강조한다. AI는 두려움의 대상이 아니라 기회의 문을 여는 도구다. 미디어 문해력과 함께라면 어떤 변화 앞에서도 흔들리지 않고 자신만의 길을 찾을 수 있다.
출판사 리뷰
AI 시대 꼭 필요한 미디어 문해력
빠르게 변하는 시대에 현명하게 적응하는 힘
2016년 4차 산업혁명부터 2020년 팬데믹 시기의 메타버스, 지금 ChatGPT로 대표되는 생성형 AI까지! 매순간 새로운 키워드가 세상을 떠들썩하게 합니다. 특히 인공지능 시대에는 기술의 발전 속도가 훨씬 더 빨라지고 사회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어요.
문맹이란 말을 들어보았나요? 글자를 제대로 읽고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을 일컫는 말이었습니다. 지금은 그 의미가 확장되고 있습니다. 디지털 문맹, 디지털 소외 현상이 대표적입니다. 점점 더 디지털 활용 능력에 대한 격차가 벌어지고 있습니다.
이런 시대에 꼭 필요한 능력은 적응하는 힘입니다. 세상의 변화에 뒤처지지 않고, 소외되지 않는 능력. 세상을 읽고 현명하게 적응하는 과정이 중요해요. 그러기 위해선 새로운 자극을 주체적으로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인 문해력이 필수입니다.
미디어 문해력이란 무엇인가
지금은 미디어의 시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요즘 사람들은 대부분의 정보를 뉴스, 유튜브, SNS 등의 미디어로 습득합니다. 영화, 웹툰, 게임으로 여가를 보내기도 하죠. 미디어는 누구나 크리에이터가 되고 영향력 있는 인플루언서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합니다. 진로직업, 경제적 이익과도 직결되어 있는 구조입니다.
누군가 구성하는 이 미디어는 긍정적인 면도 많지만, 부정적인 면도 함께 있습니다. 점점 더 구별하기 힘든 가짜뉴스, 과의존에 빠뜨리는 알고리즘과 자극적인 콘텐츠, 수많은 보이스피싱, 디지털성범죄 등이 문제가 됩니다.
양면성을 가지고 있는 미디어에 대해 현명하게 접근하고,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사회적으로 소통하며,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이 미디어 문해력입니다. 인공지능 기술이 접목되어 미디어의 영향력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이에 맞추어 우리의 미디어 문해력도 상위 단계로 나아가야 합니다.
미래를 살아갈 청소년들에게 꼭 필요한 태도
“어차피 AI가 다 하면… 우리는 뭘 하나요? 뭘 해도 대체될 것 같아서 의욕이 안 생겨요.”
한 학생의 질문이자 하소연입니다. 빠르게 변하는 시대에 오히려 무기력함을 느끼는 학생들도 많이 있습니다. 시대 변화를 쫓아가는 것은 힘드니, 멈추고 쉬고 싶은 생각도 이해합니다.
그럴 때마다 꼭 해주는 말이 있습니다. “AI가 당신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AI를 활용하는 사람이 당신을 대체하는 것이다.” AI를 두려워하지 말고, 포기하는 스스로의 모습을 두려워해야 합니다. 시대의 변화 속에 적응하는 힘을 키워야 합니다.
오히려 기술의 발달은 더 많은 기회와 가능성을 제공합니다. AI 도구는 개인별 능력의 격차를 줄이고, 생각을 현실로 바꿀 수 있는 문을 열어줍니다. 이럴 때일수록 중요한 것이 주체적이고 진취적인 태도입니다. 미디어 문해력과 함께라면 어떤 변화도 두렵지 않을 것입니다. 긍정적인 태도로 변화의 시대를 맞이하세요.
문해력은 글을 읽고 쓰는 것부터 시작했지만, 결국 그 대상은 세상으로 확장됩니다. 이 세상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것이 미디어라는 매개체이고요. 읽어야 할 텍스트를 세상으로 확장하면, 세상을 이해하고, 세상에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 것까지 포함하여 문해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는 주체적으로 세상에 적응하며 살아가는 힘과 같습니다. 여러분이 앞으로 살아갈 세상은 더 역동적인 변화를 겪을 거예요. 그때 문해력은 여러분이 주체적으로 세상을 살아갈 힘을 제공합니다. -<들어가는 글: 결국 문해력은 세상을 읽고 적응하는 힘> 中에서
AI는 점점 더 똑똑해지고 있어요. 우리는 단순히 지시만 내리는 존재가 아니라, AI보다 앞서 생각하고 의미 있는 질문을 할 수 있는 사람이 되어야 합니다. 그래서 인공지능에게 효과적으로 지시하기 위한 명령이나 질문인 프롬프트가 중요해지고 있어요. 마지막에는 원하는 의도가 잘 반영되었는지 검토하고 평가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 기준은 바로, 스스로가 정한 주체성과 창의성이에요. 앞으로는 자신의 의지로 생각하고, 그것을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이 더욱 중요합니다. 다가올 미래에 우리가 지켜낼 ‘대체 불가능성’으로 주체성과 창의성이 먼저 꼽히는 이유입니다 -<1장. 미디어 문해력이란> 中에서
무한 리필의 유혹을 극복하고 내 건강, 입맛과 체질에 맞추어 먹는 것이 현명한 자세입니다. ‘과잉의 시대’에 스스로 절제하며 즐기고 음미하는 것이 중요해요. 긴 호흡으로 감상해 보세요. ‘빨리빨리’의 논리에서는 이 책에서 다루는 많은 내용이 사치스럽게 느껴져요. 작품을 읽고 생각할 시간, 질문할 시간, 토론할 시간, 다른 매체와 비교할 시간, 변형하고 창조할 시간. 이러한 시간은 스스로 만들어야 하는 시간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이유 없는 ‘빨리빨리’란 강박에서 벗어나 마음의 여유를 되찾아 보세요. - <2장. 건강한 미디어 생활> 中에서
작가 소개
지은이 : 이승화
‘모든 것은 읽을거리다’라고 믿는 읽기 코칭 전문가. 대학원에서 독서교육과 문화콘텐츠를 전공하고, 교육회사에서 10년간 문해력 교육프로그램을 연구 및 개발했다. 문해력, 미디어리터러시, 독서토론을 주제로 학교 및 도서관, 기업에서 1,000회 이상 강의를 진행했다. 지은 책으로 『도파민 인류를 위한 대화의 감각』, 『읽어도 읽은 게 아니야! 』, 『미디어 읽고 쓰기』 등이 있다.인스타그램: @booklenz_hwabregas블로그: https://blog.naver.com/booklenz264
목차
| 들어가는 글 | 결국 문해력은 세상을 읽고 적응하는 힘 4
| 제 1 장 |미디어 문해력이란?
01 인공지능과 함께 살기
AI 시대, 특이점이 온다 17
불확실성에 대응하는 힘 20
우리가 지켜야 할 것 22
02 사람을 연결하는 미디어
미디어란 무엇인가? 24
미디어는 누군가 구성한다 26
세상에 나쁜 미디어는 없다!? 29
미디어는 결국 상호작용이다 31
03 미디어 문해력의 이해
당신도 혹시 문맹인가요? 34
미디어 문해력의 개념 36
미디어 문해력을 바라보는 관점 38
[이슈 토론] AI를 수행평가에 활용해도 될까? 42
| 제 2 장 |건강한 미디어 생활
01 중독을 이기는 자기 조절력
조바심에서 벗어나기 47
미디어 중독 탈출하기 51
자기 조절력으로 균형 잡기 55
02 좋은 콘텐츠 가까이하기
나도 모르게 따라 하는 모방학습 62
최소한 이것만은 피하자 64
노란 딱지는 왜 붙을까? 67
알고리즘에 속지 않기 70
03 주체적으로 이해하기
비판적 사고란? 76
주관과 객관 분리하기 82
내면화 질문으로 나만의 의미 만들기 86
[이슈 토론] AI가 학습하는 나의 데이터로 돈을 벌 수 있을까? 90
| 제 3 장 |결에 따른 미디어 문해력
01 전통적인 미디어의 변화
아날로그에서 디지털까지, 책 95
상업성과 예술성의 조화, 영화 102
02 미디어 생태계의 기본 뿌리
돈 벌어다 주는 살림꾼, 광고 109
새로운 정보를 전하는 배달꾼, 뉴스 114
03 직관적이고 주체적인 재미
쉽고 직관적인 매력, 만화와 웹툰 123
참여와 경험, 게임 130
04 크리에이터 시대의 시작
또 다른 만남의 광장, 소셜 미디어 137
작지만 큰 영향력, 개인 방송 145
[이슈 토론] AI와 나누는 대화가 사회성 발달에 도움이 될까? 152
| 제 4 장 |창의적으로 미디어 활용하기
01 살아 움직이는 미디어 트렌드
누구나 소비자이자 생산자 157
SNS 변천사로 보는 미디어의 변화 159
매체를 넘나드는 OSMU와 트랜스 미디어 164
진짜보다 더 진짜 같은 하이퍼 리얼리즘 170
인공지능과 함께하는 콘텐츠 172
02 미디어로 공부하기
SNS로 자기주도학습 하기 176
효과적인 인터넷 강의 학습법 182
미디어를 활용한 덕업일치 185
내 꿈을 찾는 진로 설계의 4단계 188
03 생성형 AI 활용하기
Canva로 디자인 콘텐츠 만들기 194
Suno AI로 나만의 음악 만들기 198
VREW로 영상 제작하기 201
뤼튼으로 글쓰기 204
[이슈 토론] AI 콘텐츠, 저작권 문제는 없을까? 212
| 나가는 말 | 어차피 AI가 다 하면 우리는 뭘 하나요? 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