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길벗스쿨 〈읽자마자 왕〉은 초등 입학 전후의 친구들을 위해 초등학교 가기 전 필요한 기초 상식과 공부거리들을 재미있게 미리 경험하도록 만든 시리즈이다. 세 번째 책 《읽자마자 역사 왕 :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은 1990년대에 나온 동요인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 노랫말에 나오는 우리 역사 속 100명 인물을 소개하고 있다. 학교 가기 전 친구들부터 초등 저학년까지 친구들이 중요 위인은 물론 한국사의 큰 흐름을 머릿속에 그릴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 노래는 부모님부터 지금 우리 친구들 세대에 걸쳐 수없이 반복되어 불려 온 유명한 곡이다. 친근하고도 신나는 멜로디를 따라 부르면서 자연스럽게 노랫말 안에 들어 있는 기본적인 역사 상식과 시대 흐름을 익혀 보자. 노랫말 뜻을 잘 알지 못하고 입으로 외워서 그냥 따라 부르기만 했다면, 이 책을 읽고 노랫말의 풀이와 의미를 정확히 알고 따라 불러 보자. 아마 전보다 훨씬 재미있고, 의미 있고, 위인들과 우리 역사가 더욱 멋지게 느껴질 것이다.
출판사 리뷰
노랫말 속 100명 인물로
한국사의 큰 그림을 확 잡아요!길벗스쿨 〈읽자마자 왕〉은 초등 입학 전후의 친구들을 위해 초등학교 가기 전 필요한 기초 상식과 공부거리들을 재미있게 미리 경험하도록 만든 시리즈입니다.
《읽자마자 속담 왕》, 《읽자마자 수수께끼 왕》에 이어 시리즈의 세 번째 책 《읽자마자 역사 왕 -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이 출간되었습니다. 이 책은 1990년대에 나온 동요인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 노랫말에 나오는 우리 역사 속 100명 인물을 소개하고 있어요. 학교 가기 전 친구들부터 초등 저학년까지 친구들이 중요 위인은 물론 한국사의 큰 흐름을 머릿속에 그릴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 노래는 부모님부터 지금 우리 친구들 세대에 걸쳐 수없이 반복되어 불려 온 유명한 곡이지요. 친근하고도 신나는 멜로디를 따라 부르면서 자연스럽게 노랫말 안에 들어 있는 기본적인 역사 상식과 시대 흐름을 익혀 봐요. 노랫말 뜻을 잘 알지 못하고 입으로 외워서 그냥 따라 부르기만 했다면, 이 책을 읽고 노랫말의 풀이와 의미를 정확히 알고 따라 불러 봐요. 아마 전보다 훨씬 재미있고, 의미 있고, 위인들과 우리 역사가 더욱 멋지게 느껴질 거예요.
고학년까지 이어지는 역사 공부에 필요한 기초 지식과 큰 틀을 잡는 데도 도움을 줄 거예요. 유튜브와 포털 사이트에서는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 동요를 다양한 버전으로 손쉽게 만날 수 있어요. 책과 함께 활용해서 즐거운 독서 시간을 꾸리기를 바랍니다.
■ 잘 아는 노랫말로 시작하는 역사 기초 만들기 책박혁거세 하면 신라의 첫 왕, 강감찬 하면 귀주 대첩의 장군, 김부식 하면 《삼국사기》 등 위인의 이름을 들으면 바로 떠오르는 중요한 업적이 있어요. 이처럼 주요 위인과 업적을 키워드로 연결해 기억하는 것은 어른이 되어서까지 유용한 교양이자 상식이에요. 이 책은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 노랫말을 가지고, 위인 한 명에 키워드 하나만 대응시켜면서 부담 없이 역사 공부의 문을 열고 기초를 쌓게 해 줍니다.
이 노래는 학교 가기 전 친구들과 초등 저학년 친구들이라면 누구나 자주 따라 부르고, 노랫말을 잘 외우고 있는 곡이에요. 이미 익숙한 노랫말이니까 역사적으로 풀어서 공부하기가 그리 부담스럽지 않아요. 역동적으로 시원시원하게 표현된 큰 그림으로 인물 모습도 만나고 나면, 노래 안에 담긴 여러 가지 기본 역사 상식이 자연스레 머릿속에 각인돼요. 간단한 동요이지만 그 속에 100명이나 되는 여러 명 위인과 수많은 역사적 사실이 들어 있다는 데 놀랄 거예요.
이제 역사적 의미와 가치를 이해하고 노래를 다시 부르면 어떨까요? 아는 게 많으니 더 재미있게 즐기고, 우리 역사에 감사하는 마음가짐도 한층 깊어질 거예요.
■ 무슨 말인지 잘 모르고 노래를 불렀다면, 이제 정확한 뜻을 알고 불러 봐요이 동요 가사를 보면 우리 친구들이 아직은 어려워할 수 있는 한자말이 많이도 나와요. ‘혜초 천축국’의 천축국이 무슨 뜻일까요? ‘해동공자 최충’에서 해동공자는요? ‘주리 이퇴계’의 주리란 뭐죠? 때로는 어른들도 고개를 갸우뚱하게 되지요.
천축국은 인도를 부르던 옛말이고, 해동공자는 발해 동쪽의 나라에 있는 공자 같은 훌륭한 학자라는 뜻이에요. 주리는 중국 성리학을 우리 식으로 해석한 새 학문이고요.
뿐만 아니라 ‘말 목 자른 김유신’, ‘못 살겠다 홍경래’ 등 역사 배경을 알지 못하면 엉뚱하게 느껴지는 노랫말도 있어요. 알고 보면 이 표현 속에 중요한 역사적 맥락과 의미들이 담겨 있는데 말이에요.
노랫말 단어들과 표현들을 잘 풀이해서 익히는 것으로 바로 우리 역사 공부가 시작돼요. 최대한 쉽고 명확하게 풀이하도록 본문을 구성했답니다. 노래를 부르다가 이 말이 뭘까 궁금해질 때 얼른 책을 펴서 보세요. 아하, 이래서 이 가사가 나왔구나 하고 지식을 찾아가는 즐거움, 앎의 즐거움을 느끼게 될 거예요.
■ 1절부터 5절까지 우리 역사의 큰 그림을 잡아요이 노래는 1절에서 단군의 고조선 건국으로 시작해 5절에서는 일제 강점기와 6.25 전쟁 이야기까지 우리 역사 전반을 다루고 있어요. 하지만 100인 인물을 소재로 한 것이라서 자칫 인물들이 각각 따로 떨어진 채 이해될 수도 있지요.
우리 역사 전체를 큰 흐름으로 읽을 수 있도록 각 인물과 인물 사이에 역사 시대 흐름에 대한 설명을 연결 고리처럼 촘촘하게 넣어 주었어요. 고조선에서 삼국 시대로, 신라와 남북국 시대를 거쳐, 고려와 조선, 일제 강점기까지 인물들이 시대가 딱 맞게 배열되지 않는 부분들도 보완할 수 있답니다. 고학년 본격적인 역사 공부가 시작되기 전에 역사의 기본 흐름과 틀을 잡기에 좋을 거예요.
‘삼천 궁녀 의자왕’의 경우 의자왕에 대한 평가와 삼천 궁녀를 두었다는 역사적 사실이 최근에는 바뀌거나 뒤집히기도 해요. 이처럼 역사적 해석이나 관점이 시대에 따라 바뀐 부분들은 오늘날에 맞게 보완해서 설명해 두었습니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이희순
‘우리 역사’라는 주제로 여러 친구들을 만나요. 이야기를 함께 나누고, 그림을 그리고, 종이를 오리고 붙이며 우리 역사를 교실 속에서 생생하게 살아나도록 하고 싶어요. 가슴속에서 환한 빛을 내는 별이 되기를 소망하셨던 권정생 선생님처럼 아이들에게 밝은 에너지를 전하려고 늘 노력한답니다.
목차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 노랫말 4
1 단군 - 고조선을 세운 왕 12
2 동명왕 - 고구려를 세운 왕 14
3 온조왕 - 백제를 세운 왕 16
4 박혁거세 - 신라를 세운 왕 18
5 광개토 대왕 - 고구려의 정복 왕 20
6 이사부 - 울릉도와 독도를 점령한 장군 22
7 백결 - 신라의 거문고 연주가 24
8 의자왕 - 백제의 마지막 왕 26
9 계백 - 황산벌 전투를 이끈 장군 28
10 관창 - 신라의 화랑 30
11 김유신 - 삼국 통일에 공을 세운 장군 34
12 문무왕 - 삼국을 통일한 신라 왕 36
13 원효 - 백성에게 불교를 전한 승려 38
14 혜초 - 《왕오천축국전》을 쓴 승려 40
15 장보고 - 신라의 해상왕 42
16 대조영 - 발해를 세운 왕 44
17 강감찬 - 귀주 대첩을 이끈 장군 46
18 서희 - 고려의 외교가 48
19 정중부 - 고려의 무신 50
20 최무선 - 화약 무기 발명가 52
21~27 죽림칠현 - 고려의 문인 7명 54
28 김부식 - 《삼국사기》를 쓴 정치가 56
29 지눌 - 조계종을 만든 승려 58
30 의천 - 천태종을 만든 승려 58
31 이종무 - 대마도를 정벌한 장군 60
32 정몽주 - 고려의 충신 62
33 문익점 - 목화씨를 들여온 관리 64
34 최충 - 고려의 교육자 66
35 일연 - 《삼국유사》를 쓴 승려 68
36 최영 - 홍건적과 왜구를 막은 장군 72
37 황희 - 세종 때 영의정 관리 74
38 맹사성 - 조선의 현명한 관리 76
39 장영실 - 조선의 과학자 78
40 신숙주 - 한글 창제를 도운 관리 80
41 한명회 - 세조가 왕이 되도록 도운 관리 80
42 이율곡 - 십만 양병설을 주장한 관리 82
43 이퇴계 - 조선의 성리학자 84
44 신사임당 - 조선의 예술가 86
45 곽재우 - 임진왜란 때 의병장 88
46 조헌 - 임진왜란 때 의병장 88
47 김시민 - 진주 대첩을 이끈 장군 90
48 이순신 - 임진왜란 때 바다를 지킨 장군 92
49~55 태정태세문단세 - 조선 1~7대 왕 94
56~61 사육신 - 단종을 지키다 죽은 충신들 96
62~67 생육신 - 단종을 지키다 쫓겨난 충신들 96
68 논개 - 왜적을 죽인 여인 98
69 권율 - 행주 대첩을 이끈 장군 100
70 홍길동 - 《홍길동전》 속 주인공 104
71 임꺽정 - 조선의 의적 106
72~74 삼학사 - 청나라에 항복하지 않은 세 학자 108
75 박문수 - 조선의 어사 110
76 한석봉 - 조선의 서예가 112
77 김홍도 - 조선의 풍속화가 114
78 김삿갓 - 조선의 방랑 시인 116
79 김정호 - 〈대동여지도〉를 만든 지리학자 118
80 영조 - 조선 21대 왕 120
81 정조 - 조선 22대 왕 122
82 정약용 - 조선의 개혁 관리 124
83 전봉준 - 동학 농민 운동 지도자 126
84 김대건 - 조선의 천주교 신부 128
85 황진이 - 시조로 유명한 예술가 130
86 홍경래 - 차별에 반대한 혁명가 132
87 김옥균 - 개화를 주장한 정치가 134
88 안중근 - 일본 관리를 죽인 독립운동가 136
89 이완용 - 일본에 조국을 내준 친일파 136
90 윤동주 - 일제 강점기 시인 140
91 지석영 - 종두법을 들여온 의사 142
92 손병희 - 3·1 운동 민족 대표 144
93 유관순 - 소녀 독립운동가 146
94 안창호 - 독립운동 지도자 148
95 방정환 - 어린이날을 만든 작가 150
96 이수일 - 《장한몽》 속 남자 주인공 152
97 심순애 - 《장한몽》 속 여자 주인공 152
98 김두한 - 김좌진 장군의 아들 154
99 이상 - 실험적인 작품을 쓴 시인 156
100 이중섭 - 우리나라 대표 화가 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