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1월 1일을 맞이하여 모두가 계획하는 습관 만들기의 과정을 기록한 것이다. 누구나 삼일이면 50%가 그만두고 1주일이면 79%가 중지하고 한 달이면 90%가 도중 하차한다. 그럼에도 어제와 다르게 살아가는 법을 실제 실행에 옮기면서 생활에 나타나는 변화를 기록했다. 혼자보다 함께 실행했기 때문에 100일을 완주할 수 있었고 그 변화를 기록했다.
출판사 리뷰
『이전과 다르게 살기』는 작지만 강한 변화의 힘을 실감하게 하는 여덟 명의 교사들이 실천한 ‘100일 습관 프로젝트’의 생생한 기록이다. 이들은 바쁜 교직 생활과 일상 속에서도 매일 한 가지 작은 행동을 꾸준히 실천하며 삶을 조금씩 바꾸어 나갔다. 단순한 결심에 그치지 않고, 그 결심을 ‘함께’ 실천함으로써 변화의 동력을 확보했다. 혼자서는 작심삼일로 끝날 수 있는 도전이, 공동체의 지지 속에서 100일을 넘어 인생을 바꾸는 지속 가능한 습관으로 이어졌다는 점에서 이 책은 특별하다.
저자들은 각기 다른 목표를 세웠다. 누군가는 매일 행동 관찰일지를 쓰며 교실의 풍경을 바꾸었고, 누군가는 감사일기를 통해 삶의 온도를 높였다. 또 다른 이는 매일 30쪽씩 책을 읽으며 내면을 단단히 다졌고, 매일 수채화를 그린 이는 몰입과 치유의 기쁨을 경험했다. 이 책은 그들의 ‘매일’의 기록을 통해 변화가 어떻게 시작되고 지속되는지를 보여 준다. 꾸준함의 힘이 얼마나 강력한지를 증명하는 사례들로 가득하다.
이 책의 가장 큰 미덕은 진정성이다. 작가들의 고백은 단순한 성공담이 아니다. 실패와 좌절, 망설임과 후회의 순간까지 솔직하게 담겨 있어 독자들의 공감과 응원을 이끈다. 그들은 자신을 돌아보고, 삶을 되돌아보며 작은 습관을 통해 자신과의 관계를 회복하고 세상과의 연결을 새롭게 한다. 책 속에 담긴 이들의 이야기는 독자들에게 ‘나도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선사한다.
『이전과 다르게 살기』는 자기계발서이지만, 결코 이론에 그치지 않는다. 실천이 있고, 변화가 있으며, 함께 나아간 기록이 있다. 작고 단순한 실천이 쌓이면 삶 전체가 바뀐다는 진리를 여덟 명의 저자가 각자의 목소리로 증명한다. ‘이전과는 다르게’ 살고 싶은 이들에게 이 책은 가장 따뜻하고 실질적인 안내서가 될 것이다.
꼼짝도 하기 싫은 게으름에 파묻혀 있다가 다시 일어서려면 무엇부터 해야 할까? 운이 좋아지는 방법의 처음이 청소라고 한다. 청소 이전에 운명을 개선하고 행복한 삶을 만들기 위해 날마다 하나씩 버렸다. 그랬더니 그 자리에 여유와 자유의 공간이 창조되고 청소도 시작했다. 그 결과, 마음이 편안해지고 바닥이던 의욕도 새로이 충전되어 기쁘다.
(매일 한 개씩 버리기 – 이주현 작가)
교직 생활 중에 정말 생각지 못했던 내용의 민원을 받고, 나라는 존재에 대해서 의문까지 생겼다. 아주 작게나마 지키고 있었던 작은 불꽃마저 사라졌다. 모든 초점이 온통 불행에 맞춰지니 의욕이 사라지고 삶에 재미를 찾기 힘들었다. 그러다 우연히 공저 책 쓰기에서 미션을 받아 감사일기 쓰기를 실행했다. 어려움 가운데에도 생각을 밝게 하니 정말 세상이 밝아진다. 힘든 일 속에서도 감사할 걸 찾다 보니 마음이 점점 생기가 돌아왔다.
(매일 감사일기 3줄 쓰기 – 서신영 작가)
건강 검진 결과 당뇨나 혈압에 큰 문제는 없지만 “좀 걸으시죠.”라는 의사의 말에 이대로 살다간 요즘 유행어인 급속 노화가 찾아올까 두려웠다. 드디어 운동화를 신었다. 걷기로 6일 만에 1키로가 빠졌다. 평범한 하루를 바꾸는 작은 실천이 결국 나를 변화시킨다는 것을 깨달았다.
(매일 만 보 걷기 – 윤슬 작가)
작가 소개
지은이 : 이주현
2018년부터 독서와 글쓰기를 계속해 왔다.‘내 인생은 내가 만든다’는 모토를 갖고 살아가며 죽을 때까지 현장에 남아 일하고자 날마다 공부하고 새로운 도전을 꿈꾼다.명료한 자각과 균형 있는 삶을 위한 성찰을 위해 다양한 공부를 하고 있다. 의식 있는 현자들을 좋아하고 따르며 치유와 자기 돌봄을 위한 독서와 책 쓰기 팀을 운영 중이다.저서로는 <나도 다시 행복해질 수 있을까>, <성공을 만드는 1%의 차이>, <내 인생아 흥해라>, <당신의 인생책은 무엇인가요>가 있다.블로그 : 석달 안에 책쓰기 & 책읽는 마을
지은이 : 이예림
늘 색다른 도전을 통해 사고의 확장을 멈추지 않으며, 다양한 꿈을 품고 일하는 3년차 초등교사다. 임용 후 여러 도전을 하던 중 좋은 기회로 교사 커뮤니티의 책 쓰기 동아리에 지원, ‘함께 사는 삶’의 가치를 깨닫고 실천하는 중이다. 뭔가 허전한 삶을 한층 밝고 건강한 쪽으로 이끈 것은 바로 ‘관계’였다. 바쁜 여행일정에도 멈추지 않고 약 2달 간 진행했던 ‘소통을 통한 관계 증진’에 대해 긍정적인 해답을 찾아냈다.
지은이 : 정지혜
초등교사이자 초등 두 아이의 엄마이다.쓰는 일과 사는 일은 같다고 믿으며 틈틈이 글을 쓴다.출근길 아메리카노와 늦은 밤 먹는 라면과 맥주, 계절 냄새를 좋아한다. 행복을 유예하지 않기로 다짐하고 매일의 행복을 줍는다. 공저로는 《우리,자라고 있어요》가 있다.브런치 스토리: https://brunch.co.kr/@rainbowfish
지은이 : 윤슬
주어진 삶에 감사하며 살고자 노력하는 7년 차 초등교사이다. 웃음이 넘치는 즐거운 교실에서 학생들과 함께 성장하고 있다. 게으르지만 성실한 사람이 되는 것이 목표이다.
지은이 : 김정아
현재 수도권 소재 학교에서 호기심 많고 활기찬 아이들과 함께 일상을 보내고 있다. 평소 어떻게 해야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아이들에게 꿈과 상상력을 키워 줄지 늘 고민하며, 아이들의 속마음을 그림책 이야기로 소통하고 있다. 매일 수채화 한 장 그리기라는 목표를 세우고 이를 실행하는 과정을 통해 몰입의 즐거움과 함께 스트레스 해소는 물론 미적 감각의 향상과 더불어 마음의 평화를 경험하고 있으며, 고요한 행복감을 누리고 있다.
지은이 : 이성재
경기도 소재 4학급 소규모 학교에서 복식학급의 담임으로 재직하고 있다.하루하루 열정으로 살아가기가 목표이며, 학생들을 가르치는 데에 많은 행복감을 느끼고 있다.교직 경력 3년 차에 접어든 시점에서 이제까지 해왔던 교육에 대해 되돌아보고 성찰하며 무엇이 진짜 교육인가에 대해 고민했고, 동서고금 교육 선배님들의 교육 사상을 공부하고 있다.
지은이 : 하지은
초등학교 교사로 근무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현재는 임기제 교육연구사로서 초등학교 교육 프로그램을 기획․운영하고 있다.아이들과의 소통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그들을 위한 다양한 교육적 접근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책을 통한 연대에 관심이 많아 대학원에서 아동문학을 연구하며 창의적이고 효과적인 교육 방법을 탐구하고 있다. 앞으로 어른과 아이가 함께 읽을 수 있는 동화를 써서, 많은 사람들이 삶을 더 건강하게 살아 낼 수 있도록 돕고 싶다.
지은이 : 서신영
현재 6학급 소규모 학교에서 귀여운 아이들과 함께 교직 생활을 하고 있다. 평소에 어떻게 해야 행복할 수 있을지 끊임없이 공부하고 있으며, 행복한 교사가 되기 위해 자신을 다듬고 있다. 자칫 단조롭고 무료할 수 있는 일상에서 감사함을 유지하기 위해 독서와 감사일기 3줄 쓰기를 습관화하고 있는 중이다.
목차
프롤로그 005
이성재 작가 매일 행동 관찰일지 쓰기
1. 가정 폭력에 시달리는 아이의 상황을 몰랐다 010
2. 행동 관찰일지 쓰기로 달라진 교실 015
하지은 작가 매일 30쪽 이상 읽고 기록하기
1. 나를 단단하게 만드는 독서 습관 028
2. 지속 가능한 독서 습관을 위하여 036
서신영 작가 매일 감사일기 3줄 쓰기
1. 행복해지고 싶어 046
2. 감사일기를 쓰다 052
3. 감사일기가 준 선물 058
윤슬 작가 매일 만 보 걷기
1. 무슨 생각을 해, 그냥 하는 거지 066
2. 1일 1만 보의 힘 069
이예림 작가 매일 지인과 통화하기
1. 내가 마음을 열고 다가가면 078
2. 인간관계를 잘 하는 법 084
정지혜 작가 매일 아침 독서하기
1. 아침 독서의 행복 092
2. 책 속에서 나를 만나다 098
3. 책을 읽으면 인생역전이 가능할까? 105
김정아 작가 매일 수채화 그리기
1. 수채화 그리기 연습 시간 114
2. ‘반고흐’도 미친듯이 그림을 그렸다 117
3. 매일 수채화 한 장 그리기의 효과 122
이주현 작가 매일 한 개씩 버리기
1. 나는 버리며 살기로 했다 128
2. 1일 1물건 버리기 133
집필 후기 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