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리뷰
[머리말 - 교과서 속 한국사 바로 알기]
교과서 속 우리 역사는 과거와 현재의 역사 교과서를 통해 우리 역사를 만나고 학습할 수 있습니다. 과거 일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과거가 아닌 현재의 문제를 좀 더 명확히 인식하게 해줍니다. 과거와의 대화를 통해 생각하는 힘이 자랍니다. 외워서 풀어가는 한국사가 아니라, 역사를 올바로 이해하고 생각하는 힘을 길러주고, 남다른 생각을 품은 한국사 학습이 시작됩니다.
<청소년을 위한 한국사 용어 교과서>는 사고력 학습에 노하우를 틀에 갇힌 답이 아니라 자기의 생각으로 다양한 답을 찾도록 구성되었습니다. 단순히 역사 지식을 아는 것에서 나아가, 인물을 둘러싼 환경과 그 일이 생기게 된 이유까지 생각하는 역사적 사고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한국의 역사 또는 한국사는 선사 시대부터 현대까지 동아시아의 한반도‧만주‧연해주 지역을 바탕으로 전개된 한국의 역사이며, 광복 이전의 한국에 대한 역사를 주로 설명합니다.
한국사의 시대 구분은 구석기 시대에서부터 신석기 시대, 청동기 시대, 철기 시대로 구분되는 선사시대와 고조선의 성립 이후 원삼국 시대, 삼국 시대, 남북국 시대, 후삼국 시대까지의 고대, 고려 시대인 중세, 조선 시대인 근세, 대한제국 수립 이후 오늘날까지의 근·현대 등으로 구분됩니다.
고찰하고자 하는 영역에 따라 한국의 경제사, 한국의 생활사, 한국의 정치사와 같이 분야별 역사로 나뉘어 다루어집니다.
2022년 개정 교육과정 발표와 함께 사고력 교육이 더욱 중요해진 지금, <청소년을 위한 한국사 용어 교과서>는 그 변화에 대비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깊어진 사고력으로 올바른 역사의식까지 가질 수 있습니다.
본 도서를 통하여 학생들의 사고력‧창의성‧분석 능력‧문제 해결 능력을 높이고 역사에 대한 지식도 늘리는 좋은 교과서입니다.
본서의 특징으로,
첫째, 찾아보기 쉽게 상세 목차로 가 ‧ 나 ‧ 다 순으로 구성하였습니다.
둘째, 도서명의 표기에는 < >를 사용하였습니다.
셋째, 인물은 역사적 사실과 흐름을 되돌아보며 좀 더 상세하게 구성하였습니다.
넷째, 문화재를 더 넓어진 시야와 사고로 역사적 사건을 짚어봄으로써, 역사의식과 역사적 사고력이 더 넓고 깊어지게 하였습니다.
다섯째, 중‧고등 교과서 속 용어 800개를 수록하였습니다.
역사적 사고가 길러집니다.
청소년 여러분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2025년 6월 에디터
목차
951개 용어, 중 ‧ 고등 교과 속 용어 800개
가加 / 27
가야 / 28
각훈 / 29
간도 / 30
간도 협약 / 31
간석기 /33
감은사지삼층석탑 / 34
갑술환국 / 35
갑신정변 / 36
갑오개혁 / 37
갑자사화 / 38
강감찬(948~1031) / 39
강동 6주 / 41
강서고분 / 43
강세황(1713~1791) / 44
강수(?~692) / 45
강우규(1855~1920) / 46
강조(?~1010) / 48
강홍립(1560~1627) / 48
강화도조약 / 49
강화 삼랑성(정족산성) / 50
강화학파 / 51
강희맹(1424~1483) / 52
강희안(1419~1464) / 53
강희언(1738~?) / 53
<개벽> / 54
개신교 / 55
개화당 / 55
거란 / 56
거중기 / 56
거칠부 / 57
건원중보 / 5
나머지 생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