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은이 : 이언담
[주요 약력]국내 최초 교정학 석·박사로 교정·형사정책 및 범죄학 이론과실무를 겸비한 전문가이다.청주여자교도소, 서울남부교도소장 등을 역임하였고, 법무연수원,사법연수원, 경기대학교 등에서 교정학, 형사정책, 범죄심리, 심리치료,이상심리 등을 강의하였다. 현재는 한국교정학회, 한국교정교육상담포럼,한국중독심리학회 등에 참여하여 교정에 있어서의 심리학적 접근에심혈을 기울이고 있다.[주요 저서]『아담 교정학 기본서』, 『아담 형사정책 기본서』,『아담 교정학 단원별 기출문제』, 『아담 형사정책 단원별 기출문제』
제1부 승진 및 9·7급 공채 공통영역
제1편 형벌과 수용자 공동처우
제1장 형벌의 역사와 교정이념
제1절 형벌과 교정학
제2절 범죄원인에 대한 시각
제3절 근대자유형의 발달
제4절 교정과 교정학연구
제2장 수형자 처우모델과 처우원리
제1절 처벌중점의 교정
제2절 교화개선중점의 교정
제3절 정의모델
제4절 회복적 사법
제5절 범죄인 처우유형과 처우원리
제3장 교정행정조직과 형집행법
제1절 교정행정조직
제2절 형집행법의 기능과 성격
제4장 형집행법 총칙
제1절 형집행법의 목적과 정의
제2절 순회점검과 시찰 및 참관
제5장 수용과 이송
제1절 교정시설에의 수용
제2절 현행법상 수용원칙
제3절 수용자의 이송
제6장 물품지급과 금품관리
제1절 생활품의 지급
제2절 보관금품관리
제7장 위생과 의료
제1절 교정의료 개요
제2절 건강검진과 진료
제3절 환자관리
제8장 접견·편지·전화통화
제1절 수용자의 접견
제2절 편지수수
제3절 전화통화
제9장 종교와 문화
제1절 종교
제2절 문화
제10장 특별한 보호
제1절 여성수용자
제2절 노인수용자
제3절 장애인수용자
제4절 외국인수용자
제5절 소년수용자
제6절 미성년자녀의 보호조치
제11장 계호와 엄중관리
제1절 계호
제2절 금지물품과 검사
제3절 엄중관리대상자
제12장 교정장비와 강제력행사
제1절 교정장비
제2절 강제력행사와 보안장비사용
제3절 보호실과 진정실 수용과 무기사용
제4절 재난 시의 조치 등
제13장 규율과 상벌 및 형사벌칙
제1절 현행법령상 징벌제도
제2절 형사벌칙제도
제14장 수용자의 권리구제
제1절 수용자 인권의식의 발달
제2절 수용자 권리구제의 실제
제2편 미결수용자와 사형확정자
제15장 미결수용자와 사형확정자의 처우
제1절 미결수용자의 처우
제2절 사형확정자의 처우
제3편 수형자의 처우
제16장 수형자분류와 누진처우제도
제1절 수형자분류제도
제2절 누진처우제도
제17장 분류심사제도 법제
제1절 처우원칙과 분류심사
제2절 분류조사와 분류검사
제18장 수형자 처우등급제도
제1절 시설등급과 처우등급
제2절 경비처우급의 조정과 처우
제19장 교육과 교화프로그램
제1절 교정교육과 교화프로그램
제2절 교정상담의 이해
제3절 교정상담기법
제20장 교도작업과 직업훈련
제1절 교도작업 개요
제2절 현행법상 교도작업
제3절 직업훈련과 취업지원
제21장 귀휴 등 사회적 처우(개방처우)
제1절 사회적 처우 개관
제2절 개방처우 종류
제22장 수용자의 석방과 사망
제1절 수용자의 석방
제2절 수용자의 사망
제23장 민간인의 교정참여와 가석방
제1절 민간인의 교정참여
제2절 가석방제도
제24장 보호관찰과 지역사회교정
제1절 보호관찰제도
제2절 지역사회교정의 발전
제3절 중간처우제도
제4절 중간처벌제도
제4편 교정일반이론
제25장 자유형의 제문제
제1절 자유형의 3대논의
제2절 벌금형의 환형처분
제26장 우리나라 교정의 역사
제1절 고대의 행형
제2절 조선시대 행형
제3절 근대적 행형
제27장 수형자사회의 연구
제1절 수형자사회의 연구와 교도소화
제2절 교도관의 사회
제28장 수형자 처우제도(자치제와 선시제, 과밀수용)
제1절 자치제와 카티지제
제2절 선시제도
제3절 과밀수용의 문제
제2부 9·7급 공채 영역
제5편 기타 교정관계법령
제29장 형집행법 관련 기타법령
제1절 교도관직무규칙
제2절 교도작업의 운영 및 특별회계에 관한 법률
제3절 수형자 등 호송규정
제4절 가석방자관리규정
제30장 민영교도소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