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은이 : 임기택
부경대학교 건축학과 교수동서양 철학과 건축이론을 연계하여 사유하는 작업을 꾸준히 지속해왔다.현대철학과 건축이론 시리즈 등 몇 편의 저역서가 있다.
주요철학자 소개
PART I 동북아 사상과 현대성의 접목
한국현대 철학과 서구 사상과의 접목과 전개
0501 기일원론의 계보와 기학의 발전
0502 동학의 발생 및 사상의 종합과 한국적 재해석
0503 유영모 다원주의 신학, 함석헌의 씨알철학과, 장일순의 좁쌀철학
<소결>
근대사상의 폐해 극복을 위한 사상과 움직임
0504 근대사상의 도입과 민족주의의 접목과 변용
0505 현상학 사유의 한국적 적용
0506 구조주의 사유의 접목과 영향
다원적 포스트모더니즘 사상의 접목과 한국적 전개
0507 포스트모더니즘의 사상과 절충적 특성
0508 해체주의의 한국적 적용
0509 세기말과 후기구조주의 사상의 영향과 전개
디지털의 시대 전환과 후기구조주의 사상의 접목
0510 한국적 에코, 녹색사회의 담론
0511 디지털 시대의 변화와 생성의 철학
0512 밀레니엄 이후 기일원론의 특성과의 연계지점
PART Ⅱ 동북아 사상과 연계된 동시대 건축 담론과 작품
한국 현대건축 1세대의 건축과 한국성의 담론화
0513 한국 현대건축 1세대의 모더니즘 건축과 구조주의적 실험
0514 부여박물관 왜색 논쟁과 본격적인 한국성의 담론화
0515 동북아 기학과 동북아 근대성의 건축적 접목 가능성
한국 지역주의 건축과 현대성의 접목
0516 지역주의 건축의 역사와 동시대 대응 전략
0517 비판적 지역주의 담론과 4.3그룹의 활동 및 영향
0518 중심 및 변방 이론과 동시대 한국성의 건축적 방향성
동북아 건축의 현대성의 접목 경향과 녹색도시 건축
0519 일본성 탐구의 교훈과 한국성의 재해석 방향성
0520 중국의 역사 및 지역성의 재해석과 지역주의 건축의 전개
0521 기일원론 중심의 녹색 도시 및 건축의 새로운 가능성 탐색
현대건축의 특성과 기일원론의 연계지점
0522 내재성의 지역적 분위기와 동북아 건축과의 연계지점
0523 내재적 상호의존성(다이어그램)과 동북아 건축과의 연계지점
0524 위상학적 주름 디자인과 동북아 건축과의 연계지점
한국 현대건축의 역사와 풍경의 건축의 잠재성
0525 한국의 포스트모더니즘 및 해체주의 건축과 표현적 건축경향
0526 기일원론과 현대건축의 만남과 변용
0527 밀레니엄 이후 변화와 21세기‘풍경의 건축’의 잠재성 발현
PART Ⅲ 한국 건축의 시사점과 동시대 적용가능성
생각해보아야 할 점
참고문헌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