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은이 : 임기택
부경대학교 건축학과 교수동서양 철학과 건축이론을 연계하여 사유하는 작업을 꾸준히 지속해왔다.현대철학과 건축이론 시리즈 등 몇 편의 저역서가 있다.
PART I 근대성의 도입과 동북아 사상의 대응 및 절충적 전개
근대 사상의 태동과 근대 주체의 발전 및 한계
0401 근대 철학의 기원과 주체의 목적론적 방향성
0402 근대적 주체의 재건과 한계
0403 서구 근대성의 성립 및 발전과 폐해
동북아 기일원론 계보와 근대사유와의 충돌과 대응
0404 근대 사상과의 충돌, 접목 및 대응
0405 유토피아 사상과 근대의 발아와 왕부지 철학
0406 기일원론과 유물론과의 접목
중국 및 일본 근대철학의 생성과 변화
0407 중국 고증학 및 19세기 변법유신과 캉유웨이 사상
0408 중국 마르크스주의의 영향과 근대사상으로의 이행
0409 일본 근대화(메이지 유신) 이행과 동북아 사유(신도사상)와 접목
한국 기철학의 계보와 근대로의 이행
0410 한국 고증학과 실학의 근대성 도입
0411 한국 근대 철학의 태동과 1세대 철학자들의 엇갈린 운명
0412 박종홍의 천명사상과 근대사상의 한계
<소결>
PART Ⅱ 동북아 근대철학과 연계된 건축담론과 양태
근대성의 태동과 서양의 공간 특성의 변화
0413 근대적 세계관과 시공간의 재편
0414 근대적 주거공간의 내밀성과 통제
0415 근대적 공간의 통제담론과 소비공간의 재구조화
한국 근대건축의 태동과 식민지 건축
0416 근대성의 대응 태도와 근대 건축의 흐름
0417 조선 말 실학파의 근대 지향의 건축 경향
0418 식민지 건축과 근대성의 접목 노력
근대 도시 및 도시 주거단지의 변화과정
0419 근대성의 발아와 전통 주거의 근대성 수용
0420 일제 강점기의 근대 주택의 등장 및 근대 주거지의 변화
0421 일제 강점기 의양풍, 절충식 건축의 변용과 근대성 적용
일제 강점기 근대 건축가들의 노력과 한계
0422 일제 강점기 근대 건축가의 등장
0423 근대성의 적극적 도입 세력과 절충식 건축의 특성
0424 식민 시기 건축가들의 모더니즘과 한국성 적용의 한계
해방 시기 현대건축의 태동 및 국가주도 근대화계획
0425 해방 시기 근대 건축가들과 한국 현대건축 1세대 건축가
0426 민족주의 건축의 개념 변화와 한국적 이미지의 차용
0427 국가 주도의 근대화 계획과 근대 건축의 한계
PART Ⅲ 시사점과 건축적용 가능성
생각해보아야 할 점
참고문헌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