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인공지능이 가져올 미래의 세상을 준비하며, 우리는 어떤 가치와 철학을 중심으로 삼아야 할까? 이 책은 그 답을 찾기 위한 가이드 역할을 충실히 해낸다. 국내 최고의 AI윤리교육 전문가이며 서울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인 저자는 인공지능 시대의 주역으로 성장할 청소년이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인공지능의 윤리적 문제와 가치관을 다룬다. 누구나 공감할 만한 스물한 편의 흥미진진한 에피스드를 통해 자율주행차의 딜레마, 딥페이크, 인공지능과 일자리, 인공지능의 책임과 투명성, 창의성과 저작권, 인공지능과 인간의 공존 등 인공지능이 초래하는 다양한 윤리적 문제 및 사회적 영향을 짚고 있다.
인공지능 시스템의 저항에도 불구하고 인간처럼 느끼고 경험하기 위해 애쓰는 피노키오, 몸과 뇌를 기계로 대체한 후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고민하는 테세우스, 기계화로 인해 일자리를 잃을 위기에 처하는 네드 같은 <에피소드> 속 인물들의 이야기들을 하나하나 따라가다 보면, 어렵고 복잡하게만 보이던 인공지능 기술 및 윤리 문제의 높은 벽을 넘어서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또한 각 <에피소드> 뒤에는 <탐구 질문>을 제시하여, 독자 스스로 생각하고 토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윤리적 판단력과 비판적 사고력을 키우도록 돕는다. 교사와 학생이 교육 현장에서 직접 활용할 수 있도록 구체적이고 실용적인 가이드를 제시하는 것은 물론, 가정에서 부모와 자녀가 함께 인공지능 윤리에 대해 깊은 논의를 진행하도록 돕는 실용적인 자료로도 손색이 없다.
출판사 리뷰
“왜 인공지능에서 ‘윤리’가 중요할까?”
“인공지능이 내린 결정을 믿을 수 있을까?”
“우리가 생각하는 인공지능의 모습은 어떤 것이어야 할까?”
딥페이크에서 인공지능 로봇까지, 이야기 속 인물들과 함께
훙미진진한 에피소드를 따라가다 보면 마주하게 되는 질문들.
바로 그 질문들이 우리의 미래를 구할 것이다.
재미있다! 술술 읽힌다!
21편의 흥미진진한 이야기로 풀어낸 AI 윤리 필독서!
이 책은 인공지능과 함께 살아가는 사회에서 중요한 윤리적 판단을 내릴 수 있는 능력을 키워주는 독보적인 안내서입니다. 인공지능의 감정, 정체성, 인간과의 관계 등 복잡하고 어려운 주제를 피노키오와 테세우스 같은 친숙한 캐릭터를 통해 청소년의 눈높이에 맞춰 쉽게 풀어냈지요. 자율주행차 사고, 딥페이크 문제, 인공지능의 일자리 대체 등 현실적인 사례를 통해, 인공지능 윤리의 중요성을 일깨워 줍니다. 21편의 흥미진진한 이야기로 풀어낸 사례와 시나리오를 통해 청소년이 인공지능 윤리에 대해 비판적으로 생각하고, 보다 나은 개선 방안을 모색하도록 돕는 책입니다. 특히 각 <에피소드> 뒤에 제시된 <탐구 질문>은 청소년 스스로 생각하고 토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학생은 물론 교사와 학부모 모두가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사례와 질문을 얻을 수 있어요.
이 책은 인공지능 시대를 살아가는 청소년에게 기술의 발전과 함께 윤리적 성찰의 중요성을 일깨우며, 인간 중심의 가치관을 형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책의 구성
제1부
우리는 지금 어디에 있으며, 어디를 향해가고 있을까?_ 인공지능의 현주소와 발전 방향, 인공지능 윤리의 필요성을 다룹니다.
제2부
인간과 인공지능의 사이에서_ 인간의 정체성, 인공지능의 감정, 인간과 인공지능의 경계에 관한 철학적 질문을 탐구합니다.
제3부
인공지능이 드리운 그늘_ 일자리 문제, 딥페이크, 사회적 갈등 등 인공지능이 가져올 만한 부정적 영향을 살펴봅니다.
제4부
인공지능의 윤리와 책임_ 인공지능의 의사결정, 인공지능 간의 충돌, 감시 사회 문제 등 인공지능 시대의 윤리적 책임에 대해 논의합니다.
*책의 특장점
1. 철학적 성찰과 실용적 접근:
인간과 인공지능의 경계, 인간의 정체성, 책임 소재, 윤리적 딜레마 등 철학적인 질문을 던지면서도 실생활에서 적용 가능한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2. 청소년 눈높이에 맞춘 에피소드 형식:
어렵고 복잡한 개념을 피노키오나 그리스 신화의 테세우스 같은 친숙한 캐릭터와 에피소드를 활용해, 뛰어난 스토리텔링으로 흥미롭게 전달합니다.
3. 다양한 사례 기반 학습:
자율주행차, 딥페이크, BCI 기술, 캡차 등 현실 사례를 통해 독자들의 공감을 이끌어 냅니다.
4. 탐구 질문 제공:
각 에피소드 뒤에 제시된 질문들은 청소년의 비판적 사고력과 토론 능력을 키웁니다.
5. 교육 현장에서의 활용 가능성:
교사와 학부모가 교육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실용적인 자료를 제공합니다.
작가 소개
지은이 : 박형빈
서울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다. 미국 캘리포니아대학LA(UCLA) 교육학과에서 방문학자(Visiting Scholar)를 지냈다.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에듀테크전공 및 인공지능인문융합전공 교수다. 서울교육대학교 신경윤리융합교육연구센터 및 가치윤리AI허브센터 센터장이다. 도덕윤리교육, 인격교육, AI윤리교육, 신경윤리학 등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대표 저서로는 『AI윤리와 뇌신경과학 그리고 교육』(2024), 『인공지능윤리와 도덕교육』(2022), 『AI시대 대한민국 교육변혁』(2024), 『도덕교육학: 그 이론과 실제』(2021), 『뇌 신경과학과 도덕교육』(2019)(2020세종학술도서), 『통일교육학: 그 이론과 실제』(2020), 『도덕지능수업』(2023), 『학교생활 나라면 어떻게 할까?』(2021), 『가정생활 나라면 어떻게 할까?』(2022), 『사회생활 나라면 어떻게 할까?』(2022) 등이 있다. 역서로는 『양심: 도덕적 직관의 기원』(2024)(2024세종학술도서), 『말빈 벌코위츠의 PRIMED 인격교육론』(공역, 2024), 『어린이 도덕교육의 새로운 관점』(공역, 2019)(2019세종학술도서), 『윤리적 감수성』(공역, 2022), 『윤리적 판단력』(공역, 2022), 『윤리적 실천』(공역, 2022), 『윤리적 동기부여』(공역, 2023) 등이 있다.
목차
프롤로그_ 철학적 좀비? 디지털 좀비?
제1부 우리는 지금 어디에 있으며, 어디를 향해가고 있을까?
에피소드 1. 우리는 지금 어디쯤 왔을까?
에피소드 2. 인공지능에도 윤리가 필요하다고?
에피소드 3. 인공지능과 함께하는 우리의 미래, 어떤 모습이어야 할까?
제2부 인간과 인공지능의 사이에서
에피소드 4. 인간이 된다는 건 어떤 걸까?
에피소드 5. 오늘의 나는 어제의 나와 같은 존재일까?
에피소드 6. 피노키오의 감정은 진짜일까, 흉내 내기에 불과할까?
에피소드 7. 피노키오도 인간처럼 경험하고 배우며 성장할 수 있을까?
에피소드 8. ‘나’를 복제한 인공지능은 또 다른 ‘나’가 될 수 있을까?
에피소드 9. 인공지능이 인간과 진짜 가족이 될 수 있을까?
에피소드 10. 인간과 인공지능의 경계는 어디일까?
제3부 인공지능이 드리운 그늘
에피소드 11. 인공지능이 인간의 일자리를 대신하게 된다면?
에피소드 12. 딥페이크 문제를 어떻게 다룰까?
에피소드 13. 인공지능으로 인한 사회적 갈등, 예방 및 해결책은?
에피소드 14. 인공지능이 도덕적으로 판단하고 윤리적으로 행동할 수 있을까?
에피소드 15. 인공지능 로봇의 권리를 보장해야 할까?
제4부 인공지능의 윤리와 책임
에피소드 16. 인공지능이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뽑는다면?
에피소드 17. 인공지능끼리의 충돌은 어떻게 해결할까?
에피소드 18. 인공지능 학생 관리 시스템은 또 하나의 판옵티콘이 될까?
에피소드 19. 캡차의 역설, 인공지능이 더 인간답다?
에피소드 20. 인공지능이 ‘인간 자격증’을 갖는다면?
에피소드 21. 인공지능이 인간의 통제를 벗어날 때
에필로그_ 인공지능 시대, 인간다움을 지키기 위한 윤리적 성찰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