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외국어
중국어 역사 문법 이미지

중국어 역사 문법
눌와 | 부모님 | 2025.03.28
  • 정가
  • 45,000원
  • 판매가
  • 40,500원 (10% 할인)
  • S포인트
  • 2,250P (5% 적립)
  • 상세정보
  • 15.2x22.5 | 0.974Kg | 696p
  • ISBN
  • 9791189074852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 도서 소개
  • 작가 소개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중국어 문법이 시대별로 어떻게 변화하며 현대까지 형성되었는지 고찰한 책. 그간 중국어 문법의 역사적 발전에 관한 연구에서 소홀히 다루었던 불교 경전의 한어를 포함해 전체 중국어 문법 발전사를 체계 있게 정리해, 일본 학자의 저술임에도 베이징대학 중문과 교수들에 의해 베이징대학출판사에서도 출판된 문법서이다. 어느 문법 항목 하나가 아닌 전반을 통시적으로 연구했으며, 신중히 선별한 언어 자료를 풍부하게 인용하며 논의해, 전 세계 연구자들로부터 높이 평가를 받았다. 1958년 초판 발행 이후 오늘날까지 중국어 문법사(특히 당~명·청기)를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총 2부로 나뉘어져 있으며, 1부에서는 현대 중국어 문법의 개요를 간결히 정리하고, 2부에서는 중국어 문법의 형성 및 변화 과정을 역사적 관점에서 고찰한다. 거시적인 문법 체계뿐만 아니라 시대에 따라 많이 변천된 개별 어휘 사례를 다양하게 다뤘다.《他》는 원래 《它》이고, 뱀{蛇}을 의미한다. 아주 오랜 옛날에 사람들은 풀 위에서 살았기 때문에, 뱀으로 인한 피해를 두려워하여, 인사에도 《無它乎》(뱀은 없습니까, 별일 없습니까) 하고 물었다고 한다. 이렇게 해서 《無它》는 이상이 없고, 특별하지 않은 상황을 나타내는 뜻이 되었지만, 이 《它》가 ‘다른 물건, 다른 것’에서, ‘다른 사람’이라는 뜻으로 바뀌고, 마침내 ‘저 사람’의 의미가 되어 3인칭대명사가 되었다. 3인칭대명사로서 사용되고 있는 확실한 예는, 당나라 때 처음 보인다. 이제까지 주목되고 있는 수나라 이전의 예는 문헌의 신빙성에 결여되는 부분이 있는지, 또는 3인칭의 일보 직전의 ‘다른 사람’, 즉 타칭{他稱}을 3인칭으로 오인한 것이다. _ ‘12.2.1 3인칭’ 중에서
고대어에서는 기수와 서수의 구별이 없었다. 예를 들면 《三月》은 3개월(기수)과 ‘3월’(서수)의 2가지로 쓰였고, 《三男》은 세 명의 남자(자식)라는 의미와, 세 번째 남자(자식)라는 의미가 있다. 그러나 현대어에서는 기수와 서수를 분명히 구별한다. 즉, 기수를 명사로 쓸 때는 반드시 양사를 수반하고, 양사를 쓰지 않을 때는 서수(이외의 경우도 있다)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三月》은 3월, 《三個月》은 3개월이다. 또한 그 외에 특히 서수를 나타내는 말이 생겼다._ ‘13.4 서수’ 중에서
앞에서 《毋》는 『맹자』에는 쓰이지 않지만, 『논어』에서는 텍스트에 따라 자주 《無》와 혼동해 쓰이고 있다. 『논어』에서 《毋》가 쓰이고 있다는 것은 아마 『논어』라는 텍스트가 혼란스럽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논어』 『맹자』로 대표되는 전국시대 노나라의 방언에서는 《毋》가 없다는 것을 볼 수 있는 것 같다. 《罔》은 부정사로서는 『논어』에서 쓰이지 않고, 『논어』에서는 부정사로 『서경{書經}』의 인용문에서 하나의 예가 있다. 《末》는 『맹자』에는 없고 『논어』에는 겨우 한 예를 볼 수 있을 뿐이다. 《靡》는 인용된 『시경』에 보이는 것으로 이것도 계산에 넣을 수 없다. 그래서 결국 이 방언에서 쓰인 부정사는 모두 11개가 된다.고대어의 부정사가 방언 하나에 한정된다 해도 이렇게 많은 것은, 단순한 부정 개념 이외에도 또 다른 개념을 포함하고 있고, 복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현대어에서는 분석적인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단순 부정인 《不》를 제외하고는 나머지는 전부 쓰이지 않게 되었다. 부정사의 용법을 자세히 적는 것은 고대어 문법의 중요한 역할이다. 여기에서는 요점만을 극히 간단하게 언급하겠다._ ‘18.6.1 고대어의 부정부사’ 중에서

  작가 소개

지은이 : 오타 다쓰오
일본의 저명한 중국어 학자. 오랫동안 고베외국어대학 교수로 재직하고, 중국어의 역사 문법, 어휘 및 고대문학을 정치하게 연구했다. 저서로는 이 『중국어 역사 문법』 외에도 『고전중국어문법古典中国語文法』, 『중국어사통고中国語史通考』, 『현대중일사전現代中日辞典』(공저), 『서유기 연구西遊記の硏究』 등이 있다.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