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보리 청소년 고전 ‘만남’ 시리즈 다섯 번째 책 《연암 산문집-청소년들아, 연암을 만나자》가 출간됐다. 조선 후기 진보적인 사상가이자 작가였던 박지원의 문집 《연암집》 가운데서 널리 알려진 소설 열 편과 비평, 편지글 같은 산문들을 모아 엮었다. 북녘 학자 홍기문의 번역본을 바탕으로 현직 국어교사인 박종오 작가가 청소년들의 눈높이에 맞춰 다시 썼다. 《연암 산문집》에서 격변하는 시대에 살면서 썩어 빠진 양반들을 매섭게 꾸짖고 팍팍하게 살아가는 백성들에게는 따뜻한 눈길을 주었던 큰 사람 연암 박지원을 만날 수 있다. 오늘날 연암의 사상은 우리에게 큰 울림을 준다.
출판사 리뷰
세상을 깨우려 쓴 기운 펄펄한 글,
새로운 시대 새로운 생각을 담아 낸 연암의 글을 《연암 산문집》 한 권에 담았다가진 것이 많은 이들은 새로운 시대를 두려워하는 걸까? 연암이 살던 조선 후기, 양반들은 청나라를 중심으로 급격하게 달라진 국제 질서와 상공업 중심으로 옮겨 가던 사회 환경에 적응하지 못했고, 어려운 백성들의 삶을 외면했다. 연암 박지원은 노론 명문가에서 태어난 양반이었지만 이들과 달랐다. 영조의 신임을 받던 할아버지, 어려서부터 두각을 나타낸 문장력, 연암이 이것들을 출세하는 데 활용했다면 아마 부와 권력을 쥐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연암은 다른 길을 택해 새로운 지식인이 되었다. 조선 후기 지식인들은 새 시대가 온 만큼 새로운 생각과 새로운 눈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평생 글쓰기에 매진했던 연암은, 이러한 새로운 생각과 새로운 시선을 문학작품에 담아냈다. 뛰어난 문장력으로 써 내려간 연암의 작품들에는 ‘옛것을 그대로 좇지만 말고 오늘에 맞게 새롭게 바꾸어야 한다’는 생각이 녹아 있다.
널리 알려진 소설 ‘허생전’, ‘양반전’, ‘범의 꾸중’ 같은 작품들은 물론, 비평글, 상소문, 편지글들이 《연암집》으로 묶여 지금까지 전해 온다. 보리 청소년 고전 ‘만남’ 시리즈에서는 청소년들이 재미있게 읽기 쉬운 소설들과 연암 사상의 핵심이 될 만한 산문들을 모아 《연암 산문집》으로 펴냈다.
연암의 붓끝에서 쓰여진 생기 넘치는 글, 살아 움직이는 옛사람들
청소년들이 읽기 쉬운 말로 다시 쓴 《연암 산문집》연암 박지원은 명분보다 실리를 중요하게 생각했고, 보통 사람들이 살고 일하고 싸우고 있는 현실 속에서 진리를 찾으려 했다. 그리고 글을 쓸 때 문장을 우아하게 쓰는 것보다 뜻을 잘 전달하는 것을 우선으로 삼았다. 낡은 문체를 버리고 사실적이면서도 생동감이 넘치는 자신만의 문체로 글을 썼다. 그래서 연암의 작품들에는 중국 고사 속 인물이 아니라 그 시대 사람들이 생생하게 등장한다.
‘양반전’의 몰락한 양반, ‘범의 꾸중’의 북곽 선생은 도덕과 윤리를 내세우면서도 힘없는 백성을 수탈하는 양반들 모습 그대로다. ‘허생전’의 변 씨와 ‘양반전’의 부자는 당시 상공업으로 부를 모은 새로운 계층이다. 생계를 책임지지 않고 공부만 하는 허생을 다그치던 허생의 아내는, 조선 후기 달라져 가는 여성의 모습을 보여 주기도 한다. 허드렛일을 묵묵히 하는 엄 행수와 소탈하고 따뜻한 성품을 지닌 거지 광문이, 뛰어난 재주를 지녔던 역관 이언진도, 연암이 붓끝으로 살려내 우리와 만날 수 있게 되었다.
북녘 학자 홍기문이 한문 원전을 쉬운 우리말로 옮기고 토박이말을 잘 살려 읽는 맛이 나는 글을 만들어 냈다. 그리고 현직 국어교사 박종오가 지금 우리 청소년들이 읽기 쉽도록 어려운 말들을 덜어 내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자세한 설명을 달았다.
날마다 새로워지는 2025년,
지금 우리가 되짚어 보아야 할 연암의 사상연암이 살던 때에서 250년이나 지나 세상은 말도 못할 정도로 달라졌지만, 2025년 지금 우리가 처한 현실은 그때와 닮아 있기도 하다. 우리는 여전히 강대국들의 압박 속에 있고, 가진 자들은 새로운 세상을 두려워하며 낡은 가치관을 고집하고 있으며, 낮은 자리에 있는 이들의 삶은 여전히 고달프다. 우리가 해결해야 할 문제들은 더욱 복잡해졌고, 변화의 속도는 너무 빨라 어지러울 정도다.
날마다 새로워지는 이 세상을 우리는 어떻게 살아가야 할까? 바로 지금 《연암 산문집》을 통해 연암 박지원이 내놓은 해답을 들어 보자. 연암은 늘 변화하는 현실에 발을 딛고 열린 자세로 다른 생각과 가치를 인정하며, 자기를 성찰하고 다른 이를 존중하며 공존해야 한다고 말한다. 이런 연암 사상은 시대를 뛰어넘어 지금 우리에게 큰 울림을 준다.

그래! 이른바 사대부라는 게 대체 무엇인가? 오랑캐 땅에 태어나서 스스로 사대부라며 으스대는 꼴이라니 이 얼마나 어리석은 일인가? 바지와 저고리를 온통 흰색으로 차려입으니 이것이야말로 상복이 아닌가? 머리는 또 어떠한가? 이리저리 쥐어 묶어 삐쭉하게 쪼았으니 이거야말로 남방 오랑캐의 북상투가 아닌가? 도대체 무엇이 예법이란 말인가? 번오기는 사사로는 원수를 갚기 위하여 자기 머리를 아끼지 않았고, 무령왕은 자기 나라를 강하게 하기 위하여 오랑캐 옷 입기를 부끄러워하지 않았거늘, 지금 명나라를 위하여 복수를 한다고 하면서 고작 그 머리칼 한 오리마저 아끼겠단 말인가? 장차 전장에 나가 말을 달리고 칼을 내두르고 창을 쓰고 돌을 날릴 궁리를 한다면서 그놈의 넓은 소매를 그대로 두는 것이 너희들이 말하는 이른바 예법이란 말인가? _ ‘허생전’
네가 세상 이치를 펴 늘어놓을 때는 걸핏하면 하늘이 어쩌니 저쩌니 하지마는 참말 하늘이 마련한 대로 본다면 범이나 사람이나 별반 다를 바 없는 천지만물 중 하나일 뿐이다. 그러니 천지만물이 살아나가는 어진 도리에서 본다면 범이나 메뚜기나 누에나 벌이나 개미나 모두 다 사람과 함께 같이 살기 마련이지, 서로 등지고 지낼 터수가 아니렷다. _ ‘범의 꾸중’
작가 소개
지은이 : 박지원
조선 후기의 탁월한 문장가이자 실학자다. 박사유(朴師愈)와 함평(咸平) 이씨(李氏) 사이에서 2남 2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16세에 처사 이보천(李輔天)의 딸과 결혼했다. 장인에게는 《맹자》를, 처삼촌 이양천(李亮天)에게는 《사기(史記)》를 배워 본격적인 학문을 시작했다. 처남인 이재성(李在誠)과는 평생의 문우(文友) 관계를 이어 갔다. 청년 시절엔 세상의 염량세태에 실망해 불면증과 우울증으로 고생했으며 이러한 성장 배경을 바탕으로 진실한 인간형에 대해 모색한 전(傳) 아홉 편을 지어 《방경각외전(放?閣外傳)》이라는 이름으로 편찬했다.영조 47년(1771) 마침내 과거를 보지 않기로 결심하고 서울 전의감동(典醫監洞)에 은거하면서 홍대용, 이덕무, 박제가, 유득공을 비롯한 많은 젊은 지식인들과 더불어 학문과 우정의 세계를 펼쳐 갔다. 정조 2년(1778) 홍국영이 세도를 잡고 벽파를 박해하자 생명에 위협을 느끼고 황해도 금천군(金川郡)에 있는 연암협(燕巖峽)으로 피신해 은둔 생활을 했다. 연암이라는 호는 이 골짝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정조 4년(1780)에 삼종형(三從兄)인 박명원(朴明源)의 연행(燕行) 권유를 받고 정사의 반당 자격으로 북경에 가게 되었다. 이때 건륭 황제가 열하에서 고희연을 치르는 바람에 조선 사신 역사상 처음으로 열하에 가는 행운을 얻게 되었다. 연행을 통해 깨달음을 확대한 연암은 여행의 경험을 수년간 정리해 《열하일기》를 저술했다.정조 10년(1786) 유언호의 천거로 음사(蔭仕)인 선공감(繕工監) 감역(監役)에 임명되었다. 정조 13년(1789)에는 평시서주부(平市署主簿)와 사복시주부(司僕寺主簿)를 역임했고, 정조 15년(1791)에는 한성부 판관을 지냈다. 그해 12월 안의현감에 임명되어 다음 해부터 임지에서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 이때 정조 임금이 문체를 타락시킨 장본인으로 《열하일기》를 쓴 연암을 지목하고는 남공철을 통해 순정한 글을 지어 바치라 명령했으나 실제로 응하지는 않았다. 정조 21년(1797) 61세에 면천군수로 임명되었다. 이 시절에 정조 임금에게 《과농소초(課農小抄)》를 지어 바쳐 칭송을 들었다. 1800년 양양부사로 승진했으며 이듬해 벼슬에서 물러났다. 순조 5년(1805) 10월 20일 서울 가회방(嘉會坊)의 재동(齋洞) 자택에서 깨끗하게 목욕시켜 달라는 유언만 남긴 채 세상을 떠났다. 선영이 있는 장단(長湍)의 대세현(大世峴)에 장사 지냈다.박지원의 문학 정신은 ‘법고창신(法古創新)’이라는 말로 요약할 수 있다. “옛것을 본받되 변화를 알고 새롭게 지어내되 법도를 지키라”는 의미다. 그는 문학의 참된 정신은 변화의 정신을 바탕으로 창조적인 글을 쓰는 데 있다고 생각했다. 비슷하게 되려는 것은 참이 아니며, ‘닮았다’고 하는 말 속엔 이미 가짜가 들어 있다는 것이다. 연암은 억지로 점잖은 척 고상한 글을 써서는 안 되며 오직 진실한 마음으로 대상을 참되게 그려 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리하여 그는 틀에 박힌 표현이나 관습적인 문체를 거부하고 자신만의 독특한 문체를 지향했다. 나아가 옛날 저곳이 아닌 지금 여기를 이야기하고자 했다. 중국이 아닌 조선을, 과거가 아닌 현재를 이야기할 때 진정한 문학 정신을 구현할 수 있다고 믿었다.연암의 학문적 성취와 사상은 《열하일기》에 집대성되어 있다. 《열하일기》에서 연암은 이용후생의 정신을 기반으로 청나라의 선진적 문물을 받아들여 낙후된 조선의 현실을 타개하자는 주장을 펼침으로써 북학파를 대표하는 학자로 우뚝 서게 되었다.연암은 《열하일기》 외에도 《방경각외전》, 《과농소초》, 《한민명전의(限民名田議)》 등을 직접 편찬했다. 연암의 유고는 그의 아들 박종채에 의해서 정리되었는데 아들이 쓴 〈과정록추기〉에 의하면 연암의 유고는 문고 16권, 《열하일기》 24권, 《과농소초》 15권 등 총 55권으로 정리되었다. 《열하일기》는 오늘날 완질은 26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암의 작품은 대부분이 문(文)이며 시(詩)는 50여 편이 전한다.
목차
1부 양반이 한 푼도 못 되는구려
허생전
범의 꾸중
열녀함양박씨전
방경각외전 머리말
말 거간전
예덕 선생전
민 노인전
양반전
김 신선전
광문자전
우상전
2부 옛것을 배우랴 새것을 만들랴
중국에서 마음 맞는 벗을 사귀다
옛것을 배우랴 새것을 만들랴
글은 뜻을 나타내면 그만이다
말똥구리의 말똥 덩이
뒷동산 까마귀는 무슨 빛깔인고
사흘을 읽어도 지루하지 않은 북학의
밤길의 등불 같은 책
제 몸을 해치는 것은 제 몸속에 있으니
다섯 아전의 큰 의리
흥학재를 지은 뜻
겨울 눈 속 대나무
나를 비워 남을 들이네
3부 나는 껄껄 선생이라오
천하 사람의 근심을 앞질러 근심하시오
나는 껄껄 선생이라오
나더러 오랑캐라 하니
《열하일기》에 아직도 시비라니
도로 네 눈을 감아라
개미와 코끼리
돼지 치는 이도 내 벗이라
나의 벗 홍대용
우리 고전 깊이 읽기
연암 박지원의 삶
연암의 시대, 그리고 우리 시대의 연암 사상
《연암 산문집》에 관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