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초등 > 3-4학년 > 학습참고서 > 고등참고서
2025 새로운 자습서 고전시가 한시·경기체가 1 이미지

2025 새로운 자습서 고전시가 한시·경기체가 1
지식과감성# | 3-4학년 | 2025.02.23
  • 정가
  • 5,000원
  • 판매가
  • 4,500원 (10% 할인)
  • S포인트
  • 250P (5% 적립)
  • 상세정보
  • 18.8x25.7 | 0.125Kg | 66p
  • ISBN
  • 9791139224399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품절된 상품입니다.
  • ★★★★★
  • 0/5
리뷰 0
리뷰쓰기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고전시가 수업은 더 이상 선생님의 일방적인 구절 풀이식 수업이어서는 안 된다. 이 자습서는 학생들이 원문을 현대어로 뜻풀이한 풀이본을 읽고 원문의 문장은 스스로 학습하되, 고전시가를 깊이 있게 읽기 위한 질문을 접하고 스스로 생각하며 작품의 주제 읽기, 정서 읽기, 표현법과 그 표현법의 효과 읽기 등 다양한 깊이 있는 읽기를 통해 답하며 상호 작용 할 수 있는 새로운 학습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리하여 이 『2025 새로운 자습서 고전시가 한시·경기체가 1』을 통해 새로운 고전시가 읽기와 교수-학습 방법을 제안하며 많은 학생들과 선생님들께 공유되어 미래형 이상적 문학 수업과 학습에 도움 되기를 바란다.

  출판사 리뷰

새로운 자습서 시리즈의 교육목적은 고등학교 국어, 문학 과목에 실린 문학작품들 이외에 고등학교 과정에서 접할 수 있는 다양한 한국문학의 좋은 작품들을 싣고 이 작품들을 타당하게 읽을 수 있는 질문들을 접하게 한 후 학생 스스로 생각하게 하고 예시답안을 읽도록 함으로써 학생 스스로 작품 읽기와 감상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이 새로운 자습서 집필의 가장 큰 목적 중의 또 하나는 문학작품에 대해 분석, 설명 전달식 수업이 이루어지는 현실에 대한 비판에 있다. 문학작품을 작가와 독자의 의사소통의 하나로 볼 때 독자로서의 학생들이 문학작품을 ‘어떤 방법’으로 읽어서 작자의 주제의식과 공감 또는 비판하느냐의 문제는 문학수업과 문학읽기에서 가장 중요한 내용 중의 하나라고 생각할 수 있다.

- <서문>에서

  작가 소개

지은이 : 이주선
고려대학교 국어교육과 졸업, 저서에 『눈의 꽃』(2020), 『겨울의 꿈』(2020), 『꽃, 사랑이 되다』(2021), 『일상, 세계가 되다』(2021), 『연인』(2022), 『새로운 자습서 고전시가 1』(2024)이 있다.

  목차

서문

Ⅰ. 고전시가의 문학사적 갈래의 특징
고대가요, 향가, 고려속요, 한시, 경기체가, 시조(평시조, 연시조, 사설시조), 조선전기 가사, 조선후기 가사, 잡가, 민요

Ⅱ. 작품 깊이 읽기의 예
- 현대시 ‘모란이 피기까지는’ 을 예로

Ⅲ. 한시 작품 읽기
1. 관점에 따라 달라지는 공간의 의미(은둔, 도피인가, 고고한 삶의 지향인가)
- 제가야산독서당 (최치원)
2. 가치관을 달리하면 삶의 태도가 바뀌어
- 촉규화 (최치원)
3. 슬픔의 정감의 깊이를 더하는 것은
- 송인 (정지상)
4. 초월인가 초연인가 달관인가 순리인가
- 청산은 나를 보고~ (나옹)
5. 모두가 함께 누리는 자연
- 영정중월 (이규보)
6. 문맥과 맥락에 의해 창조되는 의미
- 사리화 (이제현)
7. 위대한 인간사와 자연의 파노라마
- 부벽루 (이색)
8. ‘가난’이라는 단어에 대한 생각
- 독두시 (이색)
9. 우리가 찾는 기쁨은 어디에서 오는가
- 사청사우 (김시습)
10. 나의 그림자, 또 다른 자아
- 몸과 그림자 (김시습)
11. 난초의 의미와 아름다움
- 감우 (허난설헌)
12. 계절의 아름다움과 사랑
- 사시사 (허난설헌)
13. 정서와 정감의 심화
- 자술 (이옥봉)
14. 사회적 평가와 진정한 자아
- 환목어 (이식)
15. 두 공간 속의 시간의 의미
- 불일암 인운 스님에게 (이달)
16. 어려움 속에서도 지향이 있으니
- 속행로난 (이인로)

  회원리뷰

리뷰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