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공선옥
1963년 전남 곡성에서 태어났다. 1991년 『창작과비평』으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소설집 『피어라 수선화』 『내 생의 알리바이』 『멋진 한세상』 『명랑한 밤길』 『나는 죽지 않겠다』 『은주의 영화』, 장편소설 『유랑가족』 『내가 가장 예뻤을 때』 『영란』 『꽃 같은 시절』 『그 노래는 어디서 왔을까』 등이 있다. 만해문학상, 신동엽문학상, 오늘의젊은예술가상, 올해의예술상, 요산김정한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지은이 : 박완서
1931년 경기도 개풍군에서 태어나 소학교를 입학하기 전 어머니, 오빠와 함께 서울로 상경했다. 숙명여고를 거쳐 서울대 국문과에 입학했지만, 6‧25전쟁으로 학업을 중단했다. 1953년 결혼하여 1남 4녀를 두었다.1970년 《여성동아》 장편소설 공모에 「나목」이 당선되어 불혹의 나이로 문단에 데뷔했다. 이후 2011년 1월 담낭암으로 타계하기까지 쉼 없이 작품 활동을 하며 40여 년간 80여 편의 단편과 15편의 장편소설을 포함, 동화, 산문집, 콩트집 등 다양한 분야의 작품을 남겼다.한국문학작가상(1980), 이상문학상(1981), 대한민국문학상(1990), 이산문학상(1991), 중앙문화대상(1993), 현대문학상(1993), 동인문학상(1994), 한무숙문학상(1995), 대산문학상(1997), 만해문학상(1999), 인촌문학상(2000), 황순원문학상(2001), 호암예술상(2006) 등을 수상했고, 2006년 서울대학교 명예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2011년 타계 후에는 문학적 업적을 기려 금관문화훈장이 추서되었다.
지은이 : 성석제
1995년 『문학동네』에 단편소설 「내 인생의 마지막 4.5초」를 발표하며 등단했다. 소설집 『그곳에는 어처구니들이 산다』 『첫사랑』 『호랑이를 봤다』 『황만근은 이렇게 말했다』 『번쩍하는 황홀한 순간』 『참말로 좋은 날』 『이 인간이 정말』 『ㅤㅁㅢㅤ리도 괴리도 업시』 『사랑하는, 너무도 사랑하는』, 장편소설 『왕을 찾아서』 『인간의 힘』 『도망자 이치도』 『위풍당당』 『투명인간』 『왕은 안녕하시다』(전2권), 산문집 『소풍』 『성석제의 농담하는 카메라』 『칼과 황홀』 『꾸들꾸들 물고기 씨, 어딜 가시나』 등이 있다.
지은이 : 김중미
1963년 인천에서 태어나 1987년부터 인천 만석동에서 ‘기차길옆공부방’을 열고 지역 운동을 해 왔다. 지금은 강화로 터전을 옮겨 농촌 공동체를 꾸려 가며 ‘기차길옆작은학교’의 큰이모로 살고 있다.동화 『괭이부리말 아이들』 『꽃섬 고양이』, 청소년소설 『모두 깜언』 『그날, 고양이가 내게로 왔다』 『곁에 있다는 것』, 에세이 『꽃은 많을수록 좋다』, 강연집 『존재, 감』 등을 썼다.
지은이 : 김민령
동화와 청소년소설을 쓴다. 쓴 책으로는 청소년소설 『오늘의 인사』 『누군가의 마음』, 동화 『나의 사촌 세라』가 있다. 『외로움의 습도』 『사랑의 입자』 『중독의 농도』 『존재의 아우성』 『관계의 온도』 『복수는 나의 것』 등의 청소년 단편집에 공저자로 참여했다.
지은이 : 김애란
2002년 단편 소설 「노크하지 않는 집」으로 대산대학문학상을 받으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소설집 『달려라, 아비』, 『침이 고인다』, 『비행운』, 『바깥은 여름』, 장편 소설 『두근두근 내 인생』 등을 썼다. 이상문학상, 동인문학상, 이효석문학상, 신동엽창작상, 김유정문학상, 젊은작가상 등을 수상했다.
지은이 : 배명훈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과와 같은 학교 대학원 석사를 졸업하였고, 2005년 SF 공모전에 단편소설 〈스마트 D〉가 당선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소설집 《타워》 《안녕, 인공존재!》 《총통각하》 《예술과 중력 가속도》 《미래과거시제》, 장편소설 《신의 궤도》 《은닉》 《청혼》 《맛집 폭격》 《첫숨》 《고고심령학자》 《빙글빙글 우주군》 《우주섬 사비의 기묘한 탄도학》, 에세이 《SF 작가입니다》 등을 썼다.
지은이 : 배미주
1969년 서울에서 태어나 부산에서 자랐다. 동아대학교에서 국어국문학을 전공했다. 지은 책으로 『웅녀의 시간 여행』 『천둥 치던 날』(공저) 『바람의 사자들』 『림 로드』 『신라 경찰의 딸 설윤』 『두 번째 엔딩』(공저) 등이 있다. 제3회 창비청소년문학상을 받은 『싱커』는 풍부한 과학적 지식과 상상력을 탄탄한 서사에 잘 녹여낸 수작으로 평가받았다.
지은이 : 최양선
『몬스터 바이러스 도시』로 문학동네어린이문학상을 받으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지도에 없는 마을』로 창비 ‘좋은 어린이책’ 공모 대상을 받았다. 지은 책으로 『너의 세계』 『밤을 건너는 소년』 『미식 예찬』 『용의 미래』 『별과 고양이와 우리』 『달의 방』 『세대주 오영선』 『그 애 집은 어디일까』 『그림자 나비』 등이 있다.
지은이 : 박상기
공주교육대학교와 동대학원을 졸업한 후, 현재 초등학교 교사로 일하고 있다. 2013년 《창비어린이》 신인문학상에 청소년소설이, 2015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동화가 당선되어 작가의 길에 들어섰다. 눈높이아동문학상, 황금도깨비상, 비룡소 역사동화상 등을 받았다. 늘 엉뚱한 상상에 빠지면서도 주변을 향한 따뜻한 시선을 잃지 않으려고 노력 중이다. 지은 책으로 청소년소설 『옥수수 뺑소니』, 『내 몸에 흐르는 뜨거운 피』, 『가출 모범생 천동기』와 동화 『바꿔!』, 『오늘부터 티볼!』, 『도야의 초록 리본』, 『고양이가 필요해』, 『백제 최후의 날』, 『기적의 분실함』 등이 있다.
01 라면은 멋있다 (공선옥 소설, 김정윤 그림)
02 내가 그린 히말라야시다 그림 (성석제 소설, 교은 그림)
03 꿈을 지키는 카메라 (김중미 소설, 이지희 그림)
04 옥수수 뺑소니 (박상기 소설, 정원 그림)
05 림 로드 (배미주 소설, 김세희 그림)
06 푸른파 피망 (배명훈 소설, 국민지 그림)
07 누군가의 마음 (김민령 소설, 파이 그림)
08 카메라와 워커 (박완서 소설, 이인아 그림)
09 미식 예찬 (최양선 소설, 시호 그림)
10 칼자국 (김애란 소설, 정수지 그림)
[특별 부록] 활용북, 독서기록장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