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POSTECH 잠재력개발과정은 경제적, 지역적으로 어려운 교육환경 또는 사교육 없이 자기주도적 학습으로 수학과 과학 교과에서 뛰어난 재능을 보이는 일반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교육 기회 제공 프로그램이다. 잠재력개발과정은 과연 무엇이길래 모든 프로그램 참여자(학생, 조교, 입학사정관, 교수)를 감동하게 할 수 있었을까? 참여자들의 생생한 목소리로 들어보는 잠재력개발과정 이야기를 소개한다.
출판사 리뷰
"깡촌에서 우물 안 개구리처럼 살고 있었습니다. 제 닫힌 mind와 콧대 높고 형편없던 여유 만만한 태도를 박살 내주셔서 정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제 인생에 잊지 못할, 너무나 큰 영향을, 새로운 삶의 계기를 주셔서 너무나 감사드립니다.”
•과외도 못 받고, 학원도 다니지 못했던 내가 대한민국 최고의 교수님 수업을 듣게 된다면?
•공부가 좋은 대학에 가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 목적이 될 수 있다는 걸 깨달았다면?
•'우리 학교 개교 이래로 POSTECH에 간 사람이 없었어. 포기해.'라는 말에 포기하지 않고 꿈을 향해 달려 나간 학생들.
POSTECH 잠재력개발과정은 경제적, 지역적으로 어려운 교육환경 또는 사교육 없이 자기주도적 학습으로 수학과 과학 교과에서 뛰어난 재능을 보이는 일반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교육 기회 제공 프로그램이다. 잠재력개발과정은 과연 무엇이길래 모든 프로그램 참여자(학생, 조교, 입학사정관, 교수)를 감동하게 할 수 있었을까? 참여자들의 생생한 목소리로 들어보는 잠재력개발과정 이야기를 소개한다.
길고 긴 겨울을 지나, 만물이 소생하는 봄이 찾아왔습니다. 모처럼 문이 열린 캠퍼스를 바삐 가로지르는 학생들을 보면서, 처음 입학처장을 맡아 분주했던 16년 전을 떠올려 봅니다. 그 시기 제게 가장 중요했던 것은 우리 대학 교육을 디딤돌 삼아 자신이 가진 잠재력을 왕성하게 꽃피울, 숨은 인재를 찾는 것이었습니다. 누군가에 의한 훈련이 아니라, 배움과 연구를 즐거워하고 스스로 배우며 미래를 창의적으로 찾을 줄 아는 그런 훌륭한 인재, 하지만 다양한 여건 때문에 자신의 능력을 아직 발견하지 못했던 학생들이야말로 POSTECH이 우리나라 발전을 이끌 인재로 키워낼 재목이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POSTECH은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자신의 잠재력을 스스로 발견할 수 있는 <잠재력개발과정>을 만들었습니다. 그 과정을 통해 이공계에서의 미래를 꿈꾸고, 우리나라의 내일을 이끌어 갈 수 있도록 재미있는 프로그램들을 정성껏 마련했습니다.
2009년 처음으로 참가했던 40여 명의 학생들이 눈을 반짝이며 수업에 임하던 모습도, POSTECH 선배들에게 열띤 질문을 하던 모습도 제겐 아직 생생합니다. 그렇게 시작한 잠재력개발과정은 수백 명의 학생을 배출했고, 이미 많은 학생이 사회에 진출했을 정도로 오랜 역사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이런 시간을 보내고 나니 이 학생들이 품고 있던 이야기들이 궁금해졌습니다. 학생들의 고민, 도전, 학교에서의 일상, 사회에 나와 그려가는 미래의 모습까지, 이들의 이야기는 이공계에서 꿈을 이루고자 하는 학생과 부모님들, 그리고 인재들의 미래를 걱정하는 분들에게, 잠재력개발과정이 그랬듯 의미 있는 메시지를 전해주리라 생각합니다.
몇 년 전 미국의 한 예술가가 복숭아, 자두, 살구, 체리, 아몬드 등 마흔 가지 과일이 한 나무에 열리는 ‘Tree of 40 Fruit’이라는 나무를 만들어냈습니다. 한 그루 나무에 다양한 과일을 접목한 것은 여러 의미가 있지만, 그중에서도 과일에는 식품 이상으로 인류의 이야기가 담겨있다는 말이 특히 인상 깊게 남아 있습니다. 그의 생각을 좀 더 확장한다면, POSTECH은 대학원생을 포함해 3,400여 명이라는 각기 다른 학생을 품은 나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나무는 매년 훌륭한 열매를 맺고 있습니다.
작은 바람이 있다면 POSTECH이 그래왔듯, 이 한 권의 책에 담긴 이야기들이 수십만 명의 청소년들이 열매를 맺을 수 있는 또 다른 나무가 되었으면 합니다.
POSTECH 총장
김 무 환
작가 소개
지은이 : POSTECH 잠재력개발과정 참여자 일동
강규태 (서울대학교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과학학과) 박사과정)권성철 (POSTECH 前 입학사정관)권현정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IM인공지능반도체연구실 선임연구원)김동석 (토스뱅크 Server Platform Team DevOps Engineer)김동석 (동인고등학교 교사)김민주 (POSTECH 화학과 14학번)김상욱 (POSTECH 생명과학과 교수)김세림 (삼성전자DS 글로벌 제조&인프라 총괄 FT2팀)김예은 (POSTECH 생명과학과 통합과정)김은선 (POSTECH 화학과 통합과정)김주환 (POSTECH IT융합공학과 통합과정)김찬재 (POSTECH 前 입학사정관)박원찬 (POSTECH 신소재공학과 통합과정)부가연 (POSTECH 물리학과 통합과정)서창덕 (POSTECH 화학과 11학번)송준익 (POSTECH 前 입학사정관)신용원 (POSTECH 인공지능대학원 통합과정)안양수 (POSTECH 화학과 교수)안유림 (삼성전자 반도체연구소 연구원)유다솜 (포스코 광양제철소 생산기술부 생산기술섹션)육솔 (POSTECH 화학공학과 11학번)이민아 (Purdue University 기계공학과 박사과정)이여산 (Cornell University Postdoctoral Associate)임도완 (도쿄공업대학 공학원 기계계 석사과정)임준아 (보문중학교 교사)정민욱 (삼성전자 MX사업부 기구개발팀)최가은 (삼성바이오에피스 Digital Transformation Team Manager)최병일 (POSTECH 前 입학사정관)하재환 (현대자동차 전기전자재료개발팀)황아빈 (포항가속기연구소 홍보팀)
목차
머리말
Section 1. 잠재력개발과정 학생들의 이야기
잠재력개발과정 1기 - 육 솔
잠재력개발과정 2기 - 김주환
잠재력개발과정 2기 - 부가연
잠재력개발과정 2기 - 서창덕
잠재력개발과정 3기 - 강규태
잠재력개발과정 3기 - O O O
잠재력개발과정 4기 - 김동석
잠재력개발과정 4기 - 최가은
잠재력개발과정 4기 - 하재환
잠재력개발과정 5기 - 박원찬
잠재력개발과정 5기 - 임도완
잠재력개발과정 5기 - 황아빈
잠재력개발과정 5기 - O O O
잠재력개발과정 5기 - O O O
잠재력개발과정 6기 - 신용원
잠재력개발과정 6기 - 안유림
잠재력개발과정 6기 - 이민아
잠재력개발과정 7기 - 김예은
잠재력개발과정 7기 - 김은선
잠재력개발과정 7기 - 정민욱
잠재력개발과정 7기 - O O O
잠재력개발과정 8기 - 김민주
잠재력개발과정 8기 - 김세림
잠재력개발과정 8기 - 유다솜
잠재력개발과정 8기 - O O O
Section 2. 잠재력개발과정 조교들의 이야기
잠재력개발과정 조교 - 권현정
잠재력개발과정 조교 - 이여산
잠재력개발과정 조교 - 임준아
Section 3. 잠재력개발과정 입학사정관들의 이야기
잠재력개발과정 입학사정관 - 권성철
잠재력개발과정 입학사정관 - 김동석
잠재력개발과정 입학사정관 - 김찬재
잠재력개발과정 입학사정관 - 송준익
잠재력개발과정 입학사정관 - 최병일
Section 4. 잠재력개발과정 교수들의 이야기
잠재력개발과정 교수 - 김상욱
잠재력개발과정 교수 - 안양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