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유아 > 4-7세 > 옛이야기
연오랑과 세오녀 이미지

연오랑과 세오녀
비룡소 | 4-7세 | 2012.08.03
  • 정가
  • 11,000원
  • 판매가
  • 9,900원 (10% 할인)
  • S포인트
  • 495P (5% 적립)
  • 상세정보
  • 25.3x25.8 | 0.435Kg | 36p
  • ISBN
  • 9788949101347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비룡소 전래동화 시리즈 22권. 「삼국유사」에 실려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는 일월신화를 문학적 상상력과 아름다운 그림으로 담아낸 그림책이다. 김향이 작가는 특유의 문학적 상상력으로 연오랑과 세오녀의 애틋한 사랑과 운명을 아름답고 극적으로 풀어냈다. 색색의 꽃잎이 흩날리는 환상적인 그림은 신화적인 이야기와 잘 어우러져 감동을 전한다.

신라 제8대 아달라왕 때, 동해 바닷가에 연오랑과 세오녀 부부가 살았다. 두 사람은 고기 잡고 베를 짜며 정답게 지냈다. 그러던 어느 날, 고기 잡으러 나갔던 연오랑이 거북 바위에 실려 동쪽 섬나라로 떠내려간다. 몇 날 며칠 돌아오지 않는 연오랑을 찾아 헤매던 세오녀가 동쪽 바위섬에서 신발을 발견하고 주워 들자 그 바위가 세오녀를 싣고 섬나라로 데려간다.

당시 왕이 없던 섬나라 사람들은 연오랑을 왕으로, 세오녀를 왕비로 여기고 극진히 모신다. 그때 신라에서는 해와 달이 빛을 잃어 난리가 났다. 해와 달의 정기가 연오랑과 세오녀를 따라간 것인데….

  출판사 리뷰

『달님은 알지요』의 작가 김향이의 서정적인 글과
국제 노마 콩쿠르 수상 작가 박철민의 신비로운 그림으로 만나는
신라의 해와 달, 연오랑과 세오녀 부부 이야기


개성 있는 그림과 재미난 글로 완성도 있는 그림책을 선보여 온「비룡소 전래동화」시리즈스물두 번째 책『연오랑과 세오녀』가 (주)비룡소에서 출간되었다.『연오랑과 세오녀』는 『삼국유사』에 실려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는 일월신화를 문학적 상상력과 아름다운 그림으로 담아낸 그림책이다. 신라 제8대 아달라왕 때 동해 바닷가에 살았던 연오랑과 세오녀 부부가 바위에 실려 일본으로 간 후, 신라의 해와 달이 사라졌으나 세오녀가 짠 황금 비단을 가져와 하늘에 제사를 지내니 다시 해와 달이 나타났다는 신비로운 이야기이다. 김향이 작가는 연오랑과 세오녀 이야기가 주거니 받거니 흘러가는 구성에 애절한 노래를 곁들여 부부의 사랑과 신화적 운명을 아름답게 그려냈다. 박철민 작가는 동양화 재료인 장지에 먹과 수채 물감, 캐러멜을 사용하여 환상적이고 몽환적인 장면들을 연출해 이야기의 감동을 고스란히 전하고 있다.
세오녀가 짠 황금 비단으로 제사를 지낸 곳은 지금의 포항 지역으로, 해마다 포항에서는 ‘연오랑과 세오녀 추모제’를 열어 신화 속 주인공을 기리고, 우리 역사를 소중하게 간직하기 위해 다양한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아름다운 그림책으로 담아낸 신라의 해와 달, 연오랑과 세오녀
신라 제8대 아달라왕 때, 동해 바닷가에 연오랑과 세오녀 부부가 살았다. 두 사람은 고기 잡고 베를 짜며 정답게 지냈다. 그러던 어느 날, 고기 잡으러 나갔던 연오랑이 거북 바위에 실려 동쪽 섬나라로 떠내려간다. 몇 날 며칠 돌아오지 않는 연오랑을 찾아 헤매던 세오녀가 동쪽 바위섬에서 신발을 발견하고 주워 들자 그 바위가 세오녀를 싣고 섬나라로 데려간다. 당시 왕이 없던 섬나라 사람들은 연오랑을 왕으로, 세오녀를 왕비로 여기고 극진히 모신다. 그때 신라에서는 해와 달이 빛을 잃어 난리가 났다. 해와 달의 정기가 연오랑과 세오녀를 따라간 것이다. 아달라왕은 곧 사신을 보내 두 사람이 되돌아오기를 청했지만, 연오랑은 모든 것이 하늘의 뜻이라며 세오녀가 짠 황금 비단을 내주고 그것으로 하늘에 정성껏 제사를 지내라 한다. 그 말대로 제사를 지내니 신라의 하늘에서 다시 해와 달이 빛났다.
옛날부터 우리 조상들은 농사를 지었기 때문에 이에 영향을 주는 해와 달을 소중히 여기고 받들었다. 그래서 해와 달에 관한 옛이야기나 신화들이 많이 전해져 왔다.『연오랑과 세오녀』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일월 신화로, 특히 문헌에 기록되어 있는 거의 유일한 일월 신화라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뿐만 아니라 연오랑과 세오녀 이야기를 통해 당시 왕이 없었던 일본의 상황이나 우리의 우수한 기술이 일본으로 건너가게 된 배경 등 다양한 역사적 사실을 유추해 볼 수 있는 중요한 문화 자산이다. 김향이 작가는 특유의 문학적 상상력으로 연오랑과 세오녀의 애틋한 사랑과 운명을 아름답고 극적으로 풀어냈다. 두 주인공의 이야기가 주거니 받거니 영화처럼 흘러가는 구성과 다시는 볼 수 없을지 모르는 임을 향해 부르는 애절한 노래가 읽는 재미를 주며, 마음을 울린다.

이야기와 어우러진 신비롭고 환상적인 그림
색색의 꽃잎이 흩날리는 환상적인 그림은 신화적인 이야기와 잘 어우러져 감동을 전한다. 박철민 작가는 동양화 재료인 장지에 먹과 수채 물감, 캐러멜을 사용하여 작업했다. 각 장면의 인물들은 동양화 필선으로 사실적으로 표현하고, 풍경이나 자연물들은 캐러멜을 이용하여 신비스럽고 몽환적인 분위기를 연출해 냈다. 근경과 원경을 넘나드는 다양한 구도와 경계를 흐리고 스며들듯 겹쳐 그린 그림들이 아련한 분위기를 연출하며 마치 한 편의 영화를 보는 듯하다. 사실적인 장면들과 상징적이고 비현실적인 장면들이 자연스럽게 엮어져 현실과 환상을 넘나드는 이야기 속으로 빠져들게 한다.

  작가 소개

저자 : 김향이
전북 임실에서 나고 서울에서 자랐습니다. 1991년 <세발 자전거>로 현대아동문학상 신인상을 받으며 작품 활동을 시작해 같은 해에 <베틀노래 흐르는 방>으로 계몽아동문학상을 받았습니다. 1993년 장편 동화 <달님은 알지요>로 삼성문학상을 받았고 이 책이 2003년 MBC 느낌표!에 선정되면서 태국과 프랑스어로도 소개되었습니다. 잔잔하면서 도 감칠맛과 울림이 있는 특유의 문체로 아이들을 행복하게 해 주는 글을 쓰는 우리 시대 대표 동화 작가입니다. 지은 책으로 <무녀리네 엄마 개순이> 등 초등학교 교과서에 실린 작품을 비롯해 <쌀뱅이를 아시나요>, <내 이름은 나답게>, <사랑 나무>, <캄소콩>, <그날 밤 인형의 집에서> 등이 있습니다.

  회원리뷰

리뷰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