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리뷰
역사 일기 시리즈의 8번째 책이 나왔습니다!이번 역사 일기의 배경은 조선 후기 한양입니다. 한양은 당시 인구가 20만 명이나 되고 상업과 수공업이 발달한, 매우 활기찬 도시였습니다. 하지만 그때 농촌에서는 농사 지을 땅을 구하지 못해 고향을 떠나는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농민들은 일자리를 찾아 한양으로, 한양으로 몰려들었답니다. 그들은 청계천이나 한강 가에 허름한 집을 짓고 품팔이나 행상을 하며 살았습니다. 이번 일기의 주인공 기둥이도 그때 한양으로 온 어느 농민의 아들입니다.
활기찬 조선의 수도, 한양●조용한 도시
600여 년 전부터 한양(서울)은 조선의 수도였습니다. 지금도 그렇지만 조선 시대에도 한양은 정치, 경제, 교육, 문화의 중심지였습니다. 그러나 한양은 원래 조용한 도시였습니다. 한양에는 왕과 신하, 하급 관리와 그들에게 필요한 물품을 공급하는 상인, 수공업자 등이 살았습니다. 밤이 되면 도성의 성문이 굳게 닫혔고, 사람들은 자기 역할에 충실하게 살아갔습니다.
●한양으로 모여든 사람들
한양은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변하기 시작했습니다. 전쟁 통에 사람들은 먹고살 길을 찾아 한양으로 몰려왔습니다. 광작이 유행하면서 농토를 잃은 농민들도 한양으로 왔습니다. 이렇게 인구가 늘고 상업이 발달하면서 한양은 점차 큰 도시로 변했습니다.
●한양이 커지다
인구가 늘어나자 도성 안에는 집 지을 공간이 부족해졌습니다. 좋은 자리는 양반들이 차지했고, 가난한 사람들은 청계천 근처에 허름한 집을 짓고 살거나 아예 도성 밖 한강 가에 자리 잡았습니다. 한양의 영역은 도성을 넘어 한강까지 차츰 넓어졌습니다.
●한양 사람들의 생활
넓고 시끌벅적해진 한양에는 가지각색의 사람들이 살았습니다. 시장에는 채소 장수부터 지게를 지고 골목을 누비는 행상, 이들의 푼돈을 노리는 소매치기나 왈패, 거지가 있었습니다. 그리고 한강 주변에는
큰 상인들과 그들의 배에서 짐을 내리는 품팔이 일꾼들이 있었습니다.
●새로운 문화가 일어나다
상업이 발달하면서 한양의 중인이나 상인 가운데 큰 부자들이 나타났습니다. 그들은 양반이 될 수 없는 신분이었기 때문에 음식과 옷, 집에 돈을 쓰며 만족을 얻으려 했습니다. 한편 그들은 이전 양반들이 좋아했던 것과는 다른 종류의 그림과 문학을 즐겼습니다. 직업이 다양한 사람들이 북적대고 이전에 없던 새로운 문화가 움트는 곳, 한양은 그런 활기찬 도시로 변해 가고 있었습니다.
왜‘역사 일기’인가? 만약 내가 옛날에 살았다면 어떻게 하루하루를 보냈을까? 나의 삶과 역사는 어떤 관련이 있을까? 과거에 있었던 일들이 오늘의 역사가 되듯이, 오늘 내가 쓰는 ‘일기’가 훗날의 ‘역사’가 될 수 있다. ‘역사일기’ 시리즈는 이런 생각에서 출발했다. 『역사신문』(사계절출판사 발행)이 먼 과거의 역사를 신문 형식으로 엮어 마치 오늘의 일처럼 생생하게 이해하고 느낄 수 있도록 했듯이, 우리 아이들에 게도 먼 옛날 우리 조상들이 어떻게 살았는지를 또래 아이가 쓴 일기 형식을 통해 친근하면서도 실감나게 접근해 보게 하자는 것이다.
“교육과정이나 교사용 지도서에는 초등학교 역사 교육은 생활사와 인물사를 중심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한다. 하지만 정작 초등학생에 맞는 생활사와 인물사가 어떤 것인지 그 실체를 파악하는 일은 참으로 어렵다. 더구나 적당한 수업 자료도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그런데 ‘역사 일기’ 시리즈는 아이들에게 아주 먼 옛날의 일이지만 또래 친구들을 통해 역사와 생생하게 마주 서는 역사 일기 방식을 제시한다. 일기라는 친숙한 방식으로 어려운 역사와 쉽게 소통할 수 있는 길을 연 것이다. 이는 생활사와 인물사를 중심으로 하는 초등 역사 교육 방향을 안내한 사례로써 큰 의미를 갖는다. 각 시대의 생활사와 함께 주인공을 비롯한 등장 인물들을 통해 풀어 가는 인물사가 제대로 구현되었기 때문이다. 일제고사 등의 도입으로 역사는 그저 외울 것이 많은 지긋지긋한 암기 과목이 되어 가는 와중에 ‘역사 일기’ 시리즈의 등장은 역사가 아이들과 어떻게 만나고 소통할 것인지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 주었기에 뜻 깊고 반갑다.” - 배성호(서울 수송 초등학교 교사)
일기로 보는 역사의 하루하루!‘역사 일기’는 말 그대로 역사+일기(동화)이다. 그동안 스토리텔링 기법을 활용한 어린이 역사책은 많았지만, 어디까지가 사실이고 어디까지가 허구인지 경계가 모호하여 해당 시대의 역사상을 온전히 담아냈다고 보기엔 한계가 있다. ‘역사일기’ 시리즈는 이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해 아이디어 구상부터 시놉시스, 초고 집필, 퇴고까지 매 단계마다 역사학자와 동화작가의 공동 작업을 거쳐 일기글을 완성했다. 그 결과 인물을 둘러싼 시공간적 배경과 인물의 행동은 물론 생활 소품에 이르기까지 모두 역사적 사실에 부합되며, 동화작가의 상상력이 필요한 부분에서도 역사적 개연성을 충분히 갖출 수 있게 되었다. 그리하여 이 책을 읽는 어린이 독자들이 이야기에 자연스럽게 공감하고 추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더 나아가서는 역사라는 것이 몇몇 위대한 사람들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평범한 사람들의 성실한 삶이 모이고 녹아져서 오늘에 이르렀음을 깨달을 수 있다.
역사 정보는 딱딱한 설명 중심보다는 그림을 통해 보여 주는 방식으로 접근하여 시각적인 효과를 극대화했다. 당시의 생활과 문화를 보여 주는 유물을 생생하게 복원하여 그 시대 사람들이 실제로 사용하는 모습을 보여 주거나 청자, 팔만대장경 등을 어떻게 만들었는지 그림으로 보여 줌으로써 생생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이 또한 시대별 전문 역사학자뿐만 아니라 복식, 음식, 건축 등 각 분야사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전문가들의 자문과 철저한 고증을 거쳐서 역사적 사실을 정확하게 보여 준다.
이전에는 6학년 1학기에 배치되었던 역사 교육과정이 지난해부터 초등 5학년 내내 역사를 공부해야하는 상황이 되면서3~4학년 아이들이 읽을 만한 역사책들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역사 일기’ 시리즈는 본격적으로 역사를 배우기 전인 초등 3~4학년 아이들이나 역사 공부를 버거워하는 하는 초등 고학년들이 징검다리 삼아 읽기에 꼭 알맞은 책이다.
[이 책을 만드는 데 자문과 감수를 해 주신 분들]
복식 김소현(배화여자대학 전통의상과 교수)
건축 이우종(영남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음식 정혜경(호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
농악대의 맨 앞에 서서‘농자천하지대본’이라 쓰여진 깃발을 당당하게 흔들던 아버지 모습이 떠올랐다. 그때만 해도 우리가 소작마저 떼이고 마을을 떠날 거라고는 상상조차 못했다. 당산나무를 바라보며 슬그머니 두 손을 모았다. ‘천지신명님, 한양 가서 돈 많이 벌게 해 주세요. 그래서 꼭 우리 땅을 되찾게 해 주세요.’
고향을 떠나 며칠째 걷다 보니 짚신이 다 닳아서 발가락이 쑥 나왔다. …… 성문 앞에 줄지어 있는 사람들을 따라 성안으로 들어섰다. 어마어마하게 넓은 길에 어디서 한꺼번에 쏟아져 나온 듯한 사람들이 이리저리 떠밀려 다녔다.